살았니? 죽었니? 살았다! 길벗어린이 과학그림책 6
김경후 글, 문종훈 그림 / 길벗어린이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은 주어진 하루하루를 살아가지만 그것을 당연하게 여길뿐 삶과 죽음에 대해 깊게 생각하지는 않는 것 같아요.
[살았니? 죽었니? 살았다!]는 살아있다는게 무엇인지 생각하게 하고 생명의 현상과 속성에 대해 알려주는 과학그림책입니다.


그렇다면 살아있다는 건 무엇일까요?


살아있는 건 스스로 움직여요.
정적인 그림 뒤에 동물 친구들이 움직이는 모습을 통해 생명의 역동성을 보여줍니다.
팔짝팔짝, 사뿐사뿐, 파닥파닥, 살랑살랑 등의 꾸며주는 말로 더욱 잘 표현해주지요.
그렇다면 다리가 없는 나무나 꽃들은요?
꽃은 태양을 향해 고개를 돌리고, 담쟁이는 덩굴손 빨판으로 힘껏 나아가요.
매우 느려 우리 눈에 잘 띄지는 않지만 살아있는 건 움직여요.
 

살아있는 건 먹어요
숲 속 친구, 바닷 속 친구, 그리고 사람들 모두 무언가를 먹어요.
일부러 가르치려 하지 않아도 숲 속과 바다 속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어요.
아이 입속에 가득한 음식을 보니 건강하게 쑥쑥 자랄 것 같습니다.
편식하는 둘째아이 들으라고 그림책 속 아이를 듬뿍 칭찬해 주었지요.ㅎ
사람이 먹이사슬의 맨 꼭대기에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려주는 것 같기도 합니다.


살아 있는 건 모두모두 자라서 어른이 돼요
살아 있는 거 모두 성장을 이루지요.
개구리도 올챙이 적 시절이 있고, 밤을 지키는 늠름한 수리부엉이도 작은 알에서 태어나 자랐어요.
살아있는건 부모에서 자식으로 이어집니다.
가계도를 보며 우리 가족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의미있을 것 같아요.


살아있는 건 언젠가는 죽어요.
아이는 키우던 물고기를 땅에 묻어줍니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마냥 슬퍼하지만은 않아요.
죽으면 끝이 아니라 다른 생명을 키우는 밑거름이 되니까요.


오늘은 일곱살 둘째 아이가 펑펑 울면서 유치원에 갔어요.
집에서 키우던 물고기 한마리가 생명이 다하려는지 몸의 중심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비틀거리듯 헤엄치는 모습을 발견하고 울기 시작했어요. 수면위 먹이를 먹으려는지 위로 위로 헤엄쳐올라가려고 하지만 다시 아래로 주르륵주르륵 떨어지는 모습이
제가 보기에도 안스럽고 마음이 아팠습니다.
우는 아이를 안으며 한참을 달래주었어요.
마침 '살았니?죽었니? 살았다!'를 재미있게 읽었던 터라 물고기가 죽으면 땅에 묻어주자고 했어요.
물고기는 풀과 나무를 더 튼튼하게 키울 것이고, 좋은일을 하고 떠나면 분명히 하늘나라에서 행복할거라고 위로해 주었답니다.


집에서 키우는 애완동물의 종류가 예전보다 많이 다양해졌지요?
아이들은 여러 동물과 곤충들에 대해 호기심을 보이고 집에서 어렵지 않게 키울 수 있게 되었어요.
그런데 집에서 키우다가 싫증을 느끼면 쉽게 내보내고 다시 사들이고 한다는 말에 적잖이 놀란 적이 있습니다.
생명이 있는 것들을 장난감과 똑같이 취급을 하는 아이들의 마음자세가 염려스러웠어요.


[살았니? 죽었니? 살았다!]는 이 땅위의 모든 생명체들은 서로 이어져 있어 서로 더불어 살아야 함을, 살아있음으로 벅차고 찬란했던 순간들에도 반드시 끝이 있다는 것을 일깨워줍니다. 살아있는 것들을 대하는 자세가 더욱 경건해지고 진실해지는 계기가 되어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