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당 개 삼년이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39
정하섭 글, 김규택 그림 / 길벗어린이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하섭 글. 김규택 그림. 길벗어린이

참 순진무구해 보이고 사랑스러운 개, 그런데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 않아 보이네요.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궁금합니다.

어느 마을 가난한 훈장님은 공부를 많이 했지만 벼슬을 못 해 모든 일을 건성건성 했어요.
그런데 한 스님이 버려진 강아지를 길러 보라고 합니다.
훈장님은 단칼에 거절했지만,
3년만 키우면 복을 받을 거라는 스님의 말에 반신반의하며 개를 키우게 됩니다.

 

훈장님은 삼년이가 벼슬자리를 물어 오려나,
돈 보따리를 가져 오려나 즐거운 상상을 합니다.
그런데 삼년이 지나도 좋은 일이 생기지 않자 훈장님은 개장수에게 팔아야겠다는 생각을 하지요.

 

 

 

그 무렵 삼년이는 아이들의 이름을 외우기도 하고, 정말로 글을 깨우치기 시작했어요.
삼년 동안 내내 글 읽는 소리룰 듣다보니 그리 된 것이지요.

글방 밖으로 새어나오는 글읽는 소리를 듣고 있는 삼년이의 표정 좀 보세요.
배움의 즐거움이 그리 큰 걸까요?^^

 

 

어느 날 지붕 위 커다란 박이 굴러 떨어져 길동이가 위험에 빠지려는 찰나,
삼년이의 능력이 드디어 발휘됩니다.
“길동아~”하고 불러 위험에서 구해준 것이었지요.

 

마침내 시조까지 읇게 된 삼년이는 마을에서 유명해지고 훈장님에게 복이 찾아옵니다.
인용된 시조에서도 성실과 부지런함이 강조되고 있네요.

훈장님 또한 삼년이로 인해 깨달은 바가 있어 성실한 스승이 됩니다.
한편 삼년이는 버려진 자기를 구해 준 스님을 찾겠다며 떠납니다.
‘삼년이는 그 스님을 찾아 함께 살았을까?’로 이야기는 끝이 나는데요.

마지막 장 그림을 보면 스님과 삼년이가 다시 만난 것 같지요?
책을 손에 들고 마주앉은 모습을 보니 어떤 대화를 나누고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어떤 하나의 일에 매진하는데 3년이란 시간은 결코 짧은 시간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무슨 일을 하든지 끈기를 갖고 오래 접하면 자연히 견문이 생기고, 꾸준하면 성장하게 됨을 믿어요.

삼년이는 훈장님에게 그랬듯 또 다른 누군가에게 복을 주러 다니고 있을까요?
아니면 스님과 절로 들어가 목탁을 두드리고 있지는 않을까요?
아이들과 뒷이야기를 상상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속담은 예로부터 전해지는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표현입니다.
일상에 필요한 삶의 교훈을 전달하는 내용을 담고 있지요.
길게 설명해야 하거나 설명하기 복잡한 상황을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고,
말하고자 하는 바를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어 효과적이지요.

이런 의미의 속담을 옛이야기의 힘을 빌어 만나보니, 재미는 물론 메시지 전달 효과가 뛰어난 것 같아요.
속담을 옛이야기화한 이야기가 시리즈로 나와도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