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꽃도 맛이 있었어요 풀꽃 시리즈 2
이상권 지음, 김미정 그림 / 현암사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주 전 시골 마늘밭에서 괭이밥을 봤어요.
부지런한 엄마는 마늘 수확 후 그 자리에 다른 뭔가를 심으셨는데,
나중에 책에서 괭이밥으로 샐러드를 만들어 먹는 장면을 보고 그 때 맛좀 볼걸... 뒤늦게 아쉬웠습니다.

차례만 보아도 충분히 흥미로워요 ◁

<
풀꽃도 맛이 있었어요>는 다문화 가정의 동현이가 부모님과 이웃, 그리고 친구들과 함께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풀꽃들을 알아가고 체험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먹을 수 있는 풀과 꽃을 소개하고 있어서 더욱 흥미롭고 매 장마다 군침이 돌게 하지요.

눈에 익지만 이름을 몰랐던 것을 알게 된 즐거움도 크고, 들풀들의 생태이야기와 유래이야기가 흥미롭습니다. 아까시는 꽃도 먹고 잎으로 놀면서 많이 가지고 놀았지만 밤에는 이파리가 움츠러 든다는 건 처음 알았어요. 기회가 되면 아이들과 꼭 살펴봐야겠어요. 며느리밑씻개처럼 이름에 관한 유래이야기는 아이들이 특히 재미있어 하는 것 같아요. 흔히들 아카시아로 알고 있는 아까시 나무는 어떤 사람이 향긋한 꽃향에 취해 가까이 다가갔다가 가시에 찔려 “앗!까시!!”라고 했던데서 유래했다고 들었어요. 이름의 의미를 알게 되니 더 친숙하게 느껴지고 오래 기억될 것 같아요.

 

풀꽃 소개뿐만 아니라 예쁜 그림과 이야기만으로도 좋은 동화인 것 같아요.
때때로 피는 꽃과 순을 따먹고 연못을 만들고 땅굴 아지트를 만드는 모습은 요즘 아이들은 상상도 못할 일이 되어 버렸지요.
‘이제 우리 우리 죽으면 어떤 풀이 시고 어떤 풀이 맵고 단지도 모를거야.“라는 태관이 아빠의 말이 공감이 되며 안타깝기도 했습니다.

 

 어린 시절을 시골에서 자라 자연 먹거리를 먹을 기회가 많았어요.
진달래, 칡, 유채순, 찔레순, 꿀풀, 아까시꽃, 옥수숫대는 추억의 맛입니다.
진달래와 아까시꽃은 아이들과 함께 먹어보기도 했는데, 다른 것들은 지금 먹어도 예전의 그 맛이 날까 궁금합니다.
아이들은 단맛이 난다는 목화다래를 가장 먹어보고 싶다고 하네요.

 

군침이 도는 사진들 ^^ ◁

 

 이이들과 만들어 먹었던 풀꽃 케이크와 까나페 ◁

벌금자리, 꽃다지, 진달래, 아까시꽃으로 만들었는데, <풀꽃도 맛이 있었어요>를 보며 레시피가 많이 생겼으니
다음엔 더 새롭고 풍성한 맛을 느낄 수 있게 되었어요.

봄과 여름에 들에 나가게 되면 눈을 더 크게 뜨고 찾아봐야겠습니다.
생각만해도 즐거운 일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