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도깨비 책귀신 1
이상배 글, 백명식 그림 / 처음주니어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옛 부터 전해오던 구전동요로 " 이상하고 아름다운 도깨비 나라 방망이로 두드리면 무엇이 될까 금 나와라 와라 뚝딱 은 나와라 와라 뚝딱  ....." 불렀던 노래가 있다. 도깨비라는 말의 어원은 농경사회를 했던 배경으로 예로부터 도깨비는 복을 가져다 주는 상징으로 여겼다고 한다. 전래동화에서도 도깨비의 존재는 福을 주는 좋은 징조로 사용되었다.

<책 읽는 도깨비> 책 제목에서도 느껴지듯 책과 함께 하는 도깨비들의 모습이 연상되었다. 과연 도깨비가 책을 읽기나 할까 나 어릴적 도깨비라면 무서운 존재로만 부각되었고 실로 실존하는 인물로 생각하여 무서워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책을 통해 얻어지는 즐거움이 있기에 이를 전해 주는 도깨비라면 무서워할 이유가 전혀 없었다.

책에서 등장하는 고리짝 도깨비, 빗자루 도깨비,공책 도깨비...도깨비 삼총사는 책이라고는 가까이하지도 않았다. 그 중에 조금 나았던 도깨비는 유일하게 한글을 깨우쳤던 공책도깨비 뿐이었다. 자신이 알고 있는 한글을 고리짝 도깨비와 빗자루 도깨비에게 알려 주기도 한다. 책에 등장하는 또 다른 인물 구두쇠 영감은 날마다 돈 모으는 일이 취미인 사람이다. 모은 돈으로 땅을 사고 또 되팔아 이윤을 챙기며 부자가 되지만 고리짝 도깨비에게 모조리 도둑 맞게 된다. ’아끼면 똥이 된다’는 옛말이 있듯이 딱 그 짝이 된 셈이다. 구두쇠영감의 투기를 보면서 현 어른들의 실상을 엿보는 것 같아 씁쓸했다.

세 도깨비들은 지혜로운 선비를 만나면서 책과 함께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무덤에서 만난 세종대왕의 심부름을 통해 본격적으로 책 읽기에 빠지게 된다. 도깨비들이 책을 읽게 된 배경에는 구두쇠처럼 돈만 모았던 영감의 돈이나 고리짝 도깨비가 나무 굴속에 쌓아 두었던 돈이나 도서관을 만들고 책을 구입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어떤 경로를 통해서였 건 가지고 있던 돈의 전부는 책을 구입하고 읽는 일에 사용되었던 것이다. "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 안에 가시가 돋는다"고 말한 안중근의사의 말에 공감하며 또  "책 읽는 사람은 아름답다"라는 말을 좋아한다. 책 읽는 사람만큼 아름다워 보이는 건 없기 때문이다.

도깨비라는 복을 가져다 주는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한글을 창조하신 세종대왕의 등장과 한글과 책을 사랑할 수 있도록 많은 어린이들에게 책과 가까워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는 발판으로 충분한 도서였다. 책 본문 중에 이런 말이 있다. "저 같은 도깨비도 책을 살 때 너무 기뻤습니다. 좋은 경험을 했어요 책방에 가는 기쁨 책 사는 기쁨 그리고 또 한가지가 더 있다오 그건 책 읽는 기쁨이라오." 책과 함께 하면서 느꼈던 서로의 마음을 털어 놓았던 이 대목이 마음에 와 닿았다. 책 속에서 얻어지는 더 많은 행복을 많은 어린이들이 함께 누렸으면 하는 마음으로 이 책을 적극 추천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