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 몰입법 - 내 아이의 창의력 키우는 책읽기 전략
조미아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독서가 중요하다는 것을 아는 부모는 독서지도를 통해 많은 교육과 교훈을 깨닫게 하려 하고 책의 끝장을 덮고 나면 책의 내용이나 교훈부터 묻는 부모의 가치판단에 의해 아이의 생각을 강요하지 않았는지 나 또한 내 아이들에게 독서의 중요성과 왜 책을 읽어야 하는지 책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고 다양한 사고를 키우기 이 전에 아이의 상상의 나래를 펼칠 시간도 주지 않고 독서 중에 떠 올린 내용이해지도 정도로만 논지 파악을 시키며 독서를 강요했었는지 <독서 몰입법>책을 읽으면서 되돌아 보게 되었다.



"아이에게 다독을 강요하지 마라." 무슨 책이 되었던 간에 많은 책을 읽으면 읽은만큼 이해하고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다 여겼다. 그런데 다독을 강요하지 말라니 무슨 말인지 내용부터 궁금해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음식도 가려서 먹이듯 책도 좋은 책을 선별하여 다독이 아닌 정독하며 읽으라 얘기한다. 책을 통해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아이가 좋아하는 책을 통해 창의력을 키우고 나름대로 독서를 즐길 수 있다는데, 독서의 중요성은 예전부터 나왔던 말이다. 없는 돈 쪼개어 좋다는 전집 몇 질 책장에 채워 주고는 나 혼자 뿌듯해 하며 아이에게 독서를 강요했던 적이 있었다. 돌이켜 보면 다 부질없는 행동이었음을 시간이 흐른 지금이 되어서야 깨달았다. 아이가 무엇을 원하는지 단 한 권을 읽더라도 감동을 느끼게 해 주어야 했었다는 문제의식을 지금에라도 알게 되어 다행이라 여겼다. 책 안에는 독서교육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한 논문을 비롯하여 도서관 사서로 독서회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며 현장에서 느끼고 나눈 체험들이 들어가 있다. 이론에 근거한 자료가 아닌 실생활에서 터득한 실제경험이 담겨 있음에 공감가는 부분도 있었고 내 아이들에게 무엇을 잘못 시키고 있었는지 독서교육의 문제점도 되짚어 볼 수 있었다.



부모들에게 호기심 가는 단어로 자극하여 마케팅으로 삼는 책들이 하루가 다르게 쏟아져 나오고 있다. 수 많은 교육서 중에 내 아이에게 유익한 정보를 찾아 활용하고 느낄 수 있게 하는 책들은 대게 비슷한 수준들이었다. 나 또한 분별력 없이 수 많은 교육서를 읽으며 나름대로 터특한 정보들도 많았지만 책에서 강조하는 다독을 강요하지 말라는 의미는 이해하지 못했었다. 무엇이든 많으면 좋다고 여겼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책의 끝 장을 덮으면서 다독 보다는 정독으로 내 아이가 행복하게 자라고 행복을 통해 또 다른 삶의 즐거움을 찾게 해 주기까지는 옆에서 도와 주어야 할 부모인 내 책임이 있기에 좋은 교육서를 읽고 나 또한 한 걸음 성장한 기분이 들었다. 지천에 깔린 아무런 교육지침을 바탕으로 무분별하게 지도하는 것 보다는 실 생활에서 경험을 통해 상황설명과 독서에 관한 일을 꾸준히 하면서 책을 내신 저자의 말에 더욱 귀기울이며, 백문이불여일견이라고 책을 통해 아이만의 독서몰입법을 찾으시길 바람 해 본다. 다독이 독이 될 수 있음에 학습효과를 높이는 독서법은 따로 있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