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현관
요코야마 히데오 지음, 최고은 옮김 / 검은숲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빛의 현관] 개인피셜 2020년 최고의 추리소설


추리소설을 읽는 것이 쉬운 것일까.

흰 스케치북과 모나리자 그림.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은 깨끗한 스케치북은 추리소설을 읽기 전이다. 완성된 모나리자 그림은 추리소설을 읽은 후이다. 추리소설을 읽는 것은 레오나르도 다빈치 뒤에서 그가 흰 스케치북에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보는 것이다. 교감은 없이 다빈치의 손끝만을 따라갈 뿐이므로 그가 어떤 주제로 어떠한 그림을 그릴지 전혀 알 수가 없다. 완전한 밑그림이 그려지기 전에는 도무지 알 수 없는 선들만이 스케치 될 뿐이고 윤곽이 보일 듯 말 듯 하며 어떤 그림을 그릴 것인지 무수한 상상력을 동원해야만 한다.

한 여인의 초상화를 그리고 있구나 라고 판단을 내렸다면 그림의 화법이나 화풍을 분석하고 그녀가 누구인지 다빈치는 어떠한 의미로 그리고 있는 것인지도 깊이 있게 생각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그림에 눈썹이 없다는 것을 찾아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핵심이다. 백지상태의 스케치북과 모나리자의 갭만큼이나 추리소설을 따라가는 쉽운 작업은 아니라고 말하고 싶다. 흥미를 즐기기 위해 찾는다고 하지만 그 흥미를 찾는 것이 여느 어떤 책처럼 가벼운 책은 아니라고 더하고 싶다.


나는 추리소설을 좋아한다.

흥미가 나를 추리로 인도했지만, 추리가 나에게 보여준 것은 흥미가 전부는 아니다. 추리는 언어와 문학을 넘어 역사, 법률, 철학, 고고학, 미술 등 인간의 사상과 문화를 대상으로 하는 모든 장르의 학문영역을 보여주었다. 그렇다 추리는 인문학을 나에게 보여주었다. 사람과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동체 속의 사건 사고를 통해 인간이란 무엇인지 삶이란 무엇인지를 묻기도 했고, 역사적 사건을 통해서는 그것의 의미를 곱씹어 보기도 했으며, 예술가들의 삶을 들여다볼 때는 그들에게 예술이란 무언인가에 관해서도 조금은 생각해보기도 했다.

추리는 이론서가 아닌 실체로서의 인문학을 선사했다. 인문학 서적들이 이미 정형화되어 있는 것들을 주입식으로 가르쳐주었다면, 추리는 유연한 사고로 생각을 해보라고 권하는 식이었다. 그렇다고 추리가 좋은 인문학 서적이라고는 결코 말할 수 없다. 추리에는 흥미만 있는 게 아니라 인문학이 녹아있다는 생각을 전하고 싶은 것뿐이고, 흥미를 넘어서는 것들을 얻어갈 수 있고 다양한 주제로 깊은 사색에 빠질 수 있다는 의견일 뿐이다.


모든 소설이 추리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추리를 조금 즐기다 보면 본격이나 사회파니 하는 단어와 만난다. 이러한 것들은 쉽게 이해가 간다. 그런데 미스터리와 추리는 좀 혼란스럽다. 일본이나 영어권에서는 두 장르를 다르지 않게 보는데 유독 우리나라에서는 추리는 본격을 의미하고 미스터리는 신비 또는 공포의 요소가 큰 역할을 하는 소설로 구분하기도 한다(나무위키 참조). 장르가 뭔지 어떻게 불러야 하는지는 관심 없다. 그러나 추리라는 장르를 좀 넓게 보았으면 한다. 밀실트릭을 파헤치는 것만이 추리는 아니다. 일상의 가벼움 속에서도 추리는 가능하다.

주제넘게 예를 들자면 공지영의 [먼바다]에서도 어린 시절 애뜻한 사랑을 키우다 헤어져 중년의 나이로 미국에서 만나게 되는 과정을 보면서 과거의 이유를 찾고 미래의 결말을 예측하는 추리적 요소가 스며 있었다. 먼바다가 추리소설이라는 것이 아니라 추리라는 것은 그 어떤 소설에서도 차용할 수 있는 기법으로 볼 수 있지 않은가 하는 것이다. 본격만을 추리라고 하는 편협한 사고가 우리나라 추리소설이 몰락하고 있는 이유일지도 모르겠다. 좀 넓고 멀리 보았으면 좋겠다.


상 속에 스며든 추리소설에 목말랐다.

본격의 다양한 트릭과 작가의 필력을 맛보았고 사회파의 날카로운 시선도 따라가며 충분히 추리를 즐기고 있고 그 속에서 인문학이라는 것도 있구나 하는 생각에 이르렀다. 언제부턴가는 트릭에 구애받지 않고 장르를 불문하고 일상의 삶을 살아가는 주인공 속에 스며든 추리를 맛보고 싶은 갈망이 있었다. 요코야마 히데오 작가의 [빛의 현관]이 그것을 보여주었다.

빛의 현관 내용에는 살인도 없고 탐정도 없다. 설계사무소에 근무하는 평범한 건축가이자 이혼남이다. 트릭도 없어 긴장감 없이 밋밋할 것 같은 이야기는 주인공의 심리를 깊이 있게 따라가며 살펴보는 것으로 대신한다. 직장 동료와의 대화에서 말의 의미와 행동의 의미를 생각하는 주인공의 내면이 추리이고, 이혼한 뒤 8년째 한 달에 한 번 만나는 딸과의 대화에서 부쩍 성장한 딸의 내면을 생각하는 것이 추리이고, 자신이 설계한 멋진 주택에 고객이 입주하지 않고 연락이 두절 된 이유를 수없이 찾고 원인을 생각하는 주인공의 내면이 추리이다.


빛의 현관 도입부 줄거리

건축사무소에서 일하는 사십대 중반의 주인공은 전 직장에서 실패하고 이혼까지 한 낙오한 인생이라 생각하며 살고 있다. 지금은 고객의 돈과 각종 현실에 타협하며 그저 그런 천편일률적인 건축물을 설계할 뿐이다. 그러던 어느 날 스스로 살고 싶은 집을 지어달라는 고객의 의뢰를 받고 건축일을 처음 했을 때의 설레임을 느낀다. 최선을 다해서 자신이 짓고 싶은 집을 완성했고 잡지 책에도 실릴 만큼 멋진 주택을 완성한다. 무엇보다 건축가로서의 꿈틀거리는 꿈을 다시 일깨워주었다.

몇 달이 지난 뒤 잡지를 보고 사무실로 고객들의 문의가 이어졌다. 그중 한 고객이 잡지에 나오는 집을 구경 갔더니 사람이 살고 있지 않다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혹시나 해서 건축주에게 전화를 걸어 보지만 연락이 닿지 않는다. 순간 주인공은 의뢰받았을 때의 특별한 마음과 건축가로서 다시 희망과 긍지를 새워준 주택이 와르르 무너지는 기분을 느낀다. 마음에 들지 않은 집이었던가.

직접 집을 찾아가 보았지만 현관문은 잠겨있지 않았고 거실에는 신발 자국이 찍혀있었다. 실내는 완공 당시의 그대로의 모습이었고 이사한 흔적도 없었다. 다른 점이라면 2층 방에 북쪽에서 들어오는 빛을 받으며 홀로 남겨진 낡은 의자가 있었다. 같이 간 동료에 따르면 독일의 유명한 건축가로 히틀러를 피해 일본으로 망명하여 지내던 중 설계한 의자 같아 보인다는 말에 더욱 혼란스러움을 느낀다.

주택을 완공하며 열쇠를 넘겨줄 때 기뻐하는 부부와 주인공을 쳐다보며 서로 속삭이는 두 딸 그리고 엄마 옆에 달라붙어서 시선을 피하는 막내아들의 얼굴을 떠올려본다. 주택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 것일까. 아니, 일가족에게 무슨 일이 생긴 걸까. 의자의 정체는.


개인적 후기

두 번 울었다. 크라이막스에서 이야기에 빠져들며 그리고 책장을 덮으며 그 완성도에서... 2020년 읽은 90여 권의 소설 중 개인피셜 최고의 추리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