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인간 - 삶의 격을 높이는 내면 변화 심리학
최설민 지음 / 북모먼트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간되기 전부터 읽고싶었던 책

이 책은 적당히 위로만 해주는 것이 아닌 선생님처럼 질문하고 친구처럼 마음을 달래주는 책이다.
이게 정답이라고 제시하는 것이 아닌 내 삶에서의 주체인 ‘나’를 알아내고 찾아갈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책의 제목을 보고 나는 양수(+)인간, 음수(-)인간 중 어떤 인간에 속할지 궁금했다.
음수(-)보다는 양수(+)가 더 좋아 보였지만 나는 마음속으로도 내가 양수인간이라고 확실하게 말하지 못 했다.

책에서는 마음먹은 대로 살아가는 능동적인 사람을 양수인간, 그렇지 못하는 사람을 음수인간이라고 표현한다.
책의 중간 중간 음수인간인 인생을 살아왔어도, 지금 이 장까지 온 것만으로도 내 선택으로 양수인간이 되기 위한 한 걸음을 걸은 것이라며 도와준다.
(음수인간이 나쁘다는 것이 아닌 능동적, 수동적인 표현일뿐이다!)

현재의 내가 후회하는 과거의 내가 했던 그 행동들이 선택지가 하나밖에 없었던 나의
최선의 선택이었다. 그럴 수밖에 없었음을 수용하자.
- 본문 중에서

나는 어제의 행동이든, 오늘 아침의 행동이든 과거의 행동을 후회한 적이 많았다.
내가 왜 그랬지, 왜 그런 말을 했지, 왜 그렇게 행동을 했지 몇 초 전인 과거까지도 후회했다.

책을 읽음과 동시에 나를 돌아보며 굳이 지나간 일을 왜 후회하고 있나에 대해 또 후회했다. 그때의 나는 최고의 선택을 했을 것이고, 많은 생각을 하고 고른 선택일 것이다.
지금 내가 후회를 한다고 과거는 바뀌지 않고 내가 선택한 일이기에 능동적으로 선택한 것이다. 그렇게 나는 양수인간으로 한 발자국 걸어가고 있다.


노력하면 결과가 좋아질 ‘확률’이 올라가는 것이지 절대적으로 확실한 결과가 나오는 것은 아니다
- 본문 중에서

‘노력하면 다 돼’, ‘열심히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어’ 와 같은 말이 많은데
나는 개인적으로 좋아하지 않는다. 물론 열심히 하는 노력을 무시하는 건 아니다.
그냥 단지 본문과 같이 노력하면 결과가 좋아질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지 다 된다고 말하는 것은 너무 결과적이라고 생각하기에 공감이 갔던 부분이면서 나의 마음을 시원하게 뻥 뚫어주는 부분이었다.

우리는 콤플렉스라는 마음의 상처에 타인의 인정이라는 반창고를 붙이려고 한다.
그러나 반창고를 붙이기 전에 약부터 발라야 한다. 약을 바르지 않고 반창고를 붙이면
오히려 시간이 지날수록 상처만 곪을 뿐이다.
-본문 중에서

다른 사람에게 들키면 당신을 우습게 볼 거라고 생각하는가? 그럼 그때는 그렇게 말해보자. ‘그게 뭐 어때서?’
-본문 중에서

자신의 상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드러내야 한다. 마주해야 한다.
그리고 괜찮다는 말의 연고를 바르는 것이다.
-본문 중에서

우리는 대게 상처를 숨기고, 콤플렉스가 된 상처를 가리기 바쁘다.
책에서는 이 상처를 드러내 마주하는 일도 필요하다고 한다.

초반에 나는 내가 어디에 속하는지에만 집중하며 책을 읽었다.
책을 다 읽고 나는 내가 어디에 속하는지보다
내가 어떤 사람이고 어떤 생각을 가졌는지 어떠한 인생을 살아왔는지 돌아보게 되었다.
삶을 살아오면서 나는 양수인간일 때도 있었고, 음수인간일 때도 있었다.

단언컨대 내가 읽은 심리학책 중에서 가장 도움이 되었고, 심리학에 대해서 더 공부하고 싶게 만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