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등신불 시편 - 김종철 시집
김종철 지음 / 문학수첩 / 2001년 3월
평점 :
품절
시의 저항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바로 언어의 色 속에서 空을 마련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그것은 無임을 잊어버리고 강고한 물질이자 권력이 된 현대의 언어에 구멍을 내는 '게릴라'의 싸움일 것이다. 색과 공의 엉킴을 사색하면서 쓰여진 시편들을 담고 있는 김종철의 신작 시집 {등신불 시편}에서 필자는 이런 '게릴라'를 보게 된다. 이런 게릴라 전술을 시인이 의식했는지는 분명치 않다. 하지만 필자는, 사실 좋은 시인들은 물화된 삶을 균열시키는 게릴라 전사가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 필자의 관심은 각 시인들의 게릴라 정신은 무엇이며 그 전술은 어떤 것인가에 있다. 김종철의 이 시도 예외가 아니다.
김종철의 시들은 매우 철학적이다. 물론 세계에 대한 사유를 담는 철학은 게릴라와는 거리가 멀 터. 철학함은 게릴라와 같은 전술적 차원이라기보다는 전략을 짜는 큰 틀을 마련하기 위한 사색일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의 시가 철학적 사유를 담되 게릴라와 같은 전술 무기가 될 수 있는 것은, 무와 있음 사이에 있는 언어와 삶의 역설 자체에 대해 사색하기 때문이다. 그의 시는 언어를 조직하여 언어와 삶을 받치고 있는 심연을 드러내면서 삶의 역설을 드러낸다. 그것은 자기도 모르는 사이 자동화되고 굳어진, 물화된 삶을 떠받치는 이데올로기들에 '낯섬'으로서 충격 균열을 만드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의 시는 무의식화되고 자동화된 우리의 상식과 믿음, 생활의 부스러기에 불과하게 된 행복의 꿈, 이런 것들을 바로 무의 문턱으로 내몰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그가 '무'의 철학을 내세운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언어와, 그것에 의해 조직된 삶을 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시인은 삶을 무로 환원시키지 않는다. 그는 무와 물질, 공과 색의 뒤엉킴에 주목하는 것이다. 그 뒤엉킴의 자리가 김종철의 시에서 육체라고 할 수 있다. 관념-언어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육체는 그냥 있는 것이지만 의미화되지 않았을 경우, 그 측면에선 무와 같기도 한 것이다. 하지만 의미의 세계로 가득 들어찬 우리네 세계는 언어-의미에 오염되지 않는 육체는 없을 것이다. 정신의 육체에 대한 정복 과정이 바로 문화의 역사 아니겠는가. 시인은 유와 무가 뒤엉킨 자리라 할 육체에 관심을 기울이면서도 바로 의미화된 육체의 의미를 제거하려고 하는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