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상현실 - 도미노 총서
클로드 카도즈 / 영림카디널 / 1997년 10월
평점 :
품절
'가상현실'은 우리의 생할에서 하나의 삶의 형식으로 자리잡을 정도로 익숙하진 않다. 우리는 대부분 영화를 통해 만들어진 가상 현실의 인상을 통해 가상현실의 의미를 파악해 왔기 때문에 도리어 더 생활과는 거리가 먼 현실로 가상현실을 받아들이고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가상현실은 영화 속의 현실, 공상에 공상을 더한 현실이 되고 만다. 그리하여 영화 속에 등장하는 완벽한 가상 현실의 세계는 그것의 가능성을 공상화한다.
그러나 실제로 가상 현실은 계속 개발되고 있으며 그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지 아무도 모른다. 현재 진행되는 가상 현실에 대한 연구를 소개하면서 그 인류학적 의미와 의의에 대해 생각해본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컴퓨터나 현재 이룩된 관련 기술에 대한 사전 정보를 거의 갖지 못한 나로서는 독파가 꽤 힘들었지만, 어느 정도 이런 분야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어렵지 않게 독파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는 책이다.
비록 완벽히 이해하진 못했더라도 이 책은 가상 현실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현실화되고 있는가를 대충 실감할 수 있게 해주었다. 지은이는 가상 현실이 이전의 재현 - 연극, 사진, 영화, 텔레비전 등을 통한 재현 -과 그 성격과 개념이 다른 재현 양식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그것은 컴퓨터의 발전으로 가능할 수 있었는데, 이전의 재현 양식이 실재를 어떤 매체를 통해 반영하는 양식이었다면(비록 그 반영상은 왜곡이나 굴절이 가능하다고 해도 실재 그 자체를 변화시킨 것은 아니다), 컴퓨터를 이용한 재현 양식은 아날로그 기호를 디지털 기호로 바꾸어 재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마음대로 변형이 가능한 양식이다. 디지텰 기호로 번역된 상, 음들은 그것을 가지고 다시 조합시켜 새로운 현실상 및 음을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그러하기에 가상 현실이 실제적으로 가능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가상 현실 기술의 발전은 그야말로 어떻게 하면 좀 더 현실과 가상을 구분할 수 없을 정도의 실감을 줄 수 있느냐에 그 목표를 두고 이루어졌다. 우선 삼차원적 입체 영상을 만드는 것에 기술적 노력이 주어졌다. 영화나 텔레비젼 매체의 평면 재현에서 벗어나서 상에 깊이와 굴곡을 만들어내는 게 관건이었다. 또한 사람의 시각에 따라 상이 변화되어 보인다는 점 역시 기술적으로 극복해야 할 문제였다. 시각의 움직임에 따라 상도 변화가 있어야 하는 것이다. 현재 이러한 난점 역시 극복할 기술적 수단이 마련되었지만, 실제감은 시각만으로는 주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청각, 촉각에도 실감을 줄 수 있는 기술이 발명되어야 했다.
인간의 인지는 시각이 아니라 행위를 통해 이루어진다. 시각 역시 보려는 행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어떤 물체의 형태만이 아니라 질감까지 느껴야 그 사물을 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하여 좀 더 완벽한 가상 현실을 위해서 이른바 '통합적 재현'을 위한 기술적 노력이 가해졌던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완전한 실제감을 부여할 수 있다는 기술은 마련되지 않았다고 할 것이다.
그리하여 지은이는 묻고 있다. '한 대상을 거추장스럽고 돈도 많이 드는 또 다른 하나의 대상으로 대체한다는 것이 도대체 우리에게 무슨 소용이 있을까?'(123면) 이에 대해 그는 그 이유가 간단하다고 말한다. '어떤 것을 완벽하게 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인간의 존재와 그들에게 주어진 운명에 대한 근본적인 불안을 가라앉혀 주기 때문'이라는 것이다.(127면) 그것을 비판적인 뉘앙스를 가지고 이름지어 '현대판 우상숭배'라 그는 부른다.
'인간의 상호 작용 능력이 생물학적 차원에서 확장되기를 원한다면 새로운 현실들을 자연적이고 안전한 현실로 위장하려고 애쓰기보다는 오히려 인간이 직접적으로 자신을 적응시키는 편이 나을 것'(125)라는 지은이의 뼈있는 제언은, 최첨단 기술을 발전시키는 인류의 또 다른 이면, 즉 나약함에 대한 경고로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