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는 쉽다! 4 : 나라가 우리를 행복하게 만든다고? - 우리나라의 복지 이야기 사회는 쉽다! 4
김서윤 지음, 정은영 그림 / 비룡소 / 201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복지가 무엇인지 막연하게 알고 있었어요. 무조건 좋은 것이라고만 생각하고 있었구요. 복지제도가 잘 된 나라가 좋은 곳이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그만큼 세금도 많이 내야 하고 그에 대한 준비가 철저하게 필요하다는 것도 알았구요. 복지가 잘 된 나라에서 살면 우리가 사는 걱정을 조금이라도 덜 수 있을 것 같아요. 아픈 데 병원에 가는 것 장애를 입었을 때 어떻게 대비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나이가 들어서 일을 할 수 없을 때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에 대해 깊이있게 생각해 보았어요.

 

 

사회복지가 무엇이지 또 우리나라 사회복지 제도는 어디까지 와 있는지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어요. 어린 학생들에게는 복지가 먼 나라의 이야기처럼 들릴 수 있는데 아이의 수준에 맞게 구성되어 있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어요. 대통령이 바뀌면서 더 잘 사는 나라가 되기를 희망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곰곰이 생각해 보게 되네요. 돈이 없고 나이가 들고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불편하지 않게 살 수 있도록 해주는 제도가 꼭 필요한 것 같아요.

 

사회복지가 잘 되기 위해서는 많은 사람들의 희생가 필요한 것 같아요. 나라가 저절로 복지 제도를 튼튼하게 만들 수는 없을 것 같아요. 그만큼 세금이 넉넉하게 들어오고 잘 살고 많이 버는 사람들의 이해가 있어야겠지요. 구체적인 사회복지 내용에 대해 배울 수 있었어요. 일자리를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최소한의 생활비에 쓸 수 있게 도와주는 제도가 있다는 것도 마음이 든든해지구요. 아플 때 돈이 없어서 병원에 못 가는 사람들을 위한 제도가 있다는 것도 좋아 보이구요.

 

복지가 사라진 나라에 살고 있는 아이들의 모습을 그린 만화를 보면서 한편 가슴이 철렁 했어요. 아이들 눈에 비친 나라의 모습이 너무 삭막해 보엿기 때문입니다. 만약 정말 그런 나라에 살게 된다면 무서워서 집밖에 나가기도 어려울 것 같아요. 상상에서만 끝나는 것이 너무 너무 다행이네요. 좀 더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고 누리기 위해서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생각해 볼 수 있게 해준 책이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