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우리 얼 그림책 1
박윤규 글, 한병호 그림, 진용선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오늘 아침 뉴스에 일본 극우파 인사들이 입국하는 것을 공항에서 저지했다는 기사를 봤어요. 내 것과 남의 것도 제대로 구분 못하는 사람이 한 나라의 학자라는 것이 믿어지지 않고 화가 나지만, 결국 우리의 것은 우리가 지켜야 되는 거란 생각이 드네요.아리랑은 어린 아이부터 나이드신 분들까지 모두 공감하고 들으면서 눈물 글썽이게 되는 음악이지요. 요즘에는 유치원에서도 우리 전통에 대한 공부를 많이 시키더라구요. 정말 좋은 현상이지요.저희 아이도 아리랑에 대해 잘 알고 있어요. 아리랑 노래가 나오면 괜히 기분이 들썩이는 것 같기도 하구요. 책 맨 뒤에 있는 CD도 들어봤어요. 우리에게 익숙한 아리랑 말고도 다양한 아리랑이 있다는 것도 아이에게 알려줬답니다.

 

1920년대 만들어진 영화 <아리랑>의 내용이 그림책의 주내용입니다. 지금의 정서와 안 맞는 부분도 있지만, 분명 신선하고 새로운 자극이었어요. 괜히 울컥해지고 뭔가 가슴이 찡해오는 감동이 있었어요. 사랑과 증오와 오해와 기다림에 대한 진한 여운도 느껴볼 수 있었구요. 구할 수만 있다면 변사의 목소리가 든 영화 자료도 접해보고 싶어요. CD를 들으니 더욱 실감나더군요. 

  

저희 아이는 '날 좀 보소 ~' 가 들어간 밀양 아리랑이 제일 좋다고 하네요. 신나고 기분이 좋아지는 음악으로 여겨지나 봅니다. 제일 처음에 나오는 우리에게 가장 익숙한 아리랑은 언제나 들어도 가슴이 울컥해 집니다. 다른 나라와 하는 국제경기중에 듣게 되는 아리랑의 여운이 떠오르구요. 어느 곳에 가서든 누구와 함께 듣든 아리랑은 우리의 정서와 너무 너무 잘 맞는 음악이지요. 아이들에게도 자주 들려주고 싶어요.

 

아리랑에 담긴 이야기 뿐만 아니라 아리랑에 대한 정보도 많이 담고 있어요. 여러 지역에서 불리는 아리랑의 특징에 대해 알 수 있었고 또 들어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아리랑과 관련된 이야기도 덧붙여 있어서 깊이있게 아리랑에 대해 접해볼 수 있었구요. 우리의 문화를 담은 그림책...아이들에게 곡 필요한 문화가 아닌가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