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저 인간이 싫을까? - 인간관계가 불편한 사람들의 관계 심리학, 7주년 기념 개정판
오카다 다카시 지음, 김해용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를 미워해본 적이 있는가?

그 사람이 앉아 있는 모습만 보아도 얄밉고 그 사람이 숨쉬는 소리만 들어도 혐오감이 생기며 항상 나만 손해보는 느낌이 든 적은 없는지?

그런 적이 있다면 이 책의 제목만 봐도 읽고 싶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왜 내가 그 사람을 싫어하게 되었는지, 그 사람이 얼마나 잘못이 많은 것인지가 쓰여 있기를 개대했다면? 약간 실망할 것이다.

이 책은 '인간 알레르기'에 관한 이야기다. 나에게 해가 되지 않는데도 해가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재채기하게 되고 심지어는 생명의 위협을 받게 되는 알레르기 반응처럼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을 싫어하게 된 사람은 왜 그렇게 되었는가 원인을 알려주는 데 많은 장을 할애하고 있다.

심리학책인 만큼 많은 사례를 충분히 들어주고 있어 무척 흥미로웠다. 생떽쥐베리, 서머셋 몸 등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위대한 작가들 또는 상담을 받으러 왔던 일반적인 사람들의 다양한 예도 중간중간에 다루고 있어 정말 흥미롭다.

누군가를 싫어하게 되는 데는 한 가지 이유만 있는 것은 아니다. 자기 자신의 어렸을 때 경험이나 심리적인 이유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다.

한편, 객관적인 사실말고 상상, 잘못된 판단으로 그 사람을 싫어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상사가 자신만 미워한다고 생각하는 의뢰인의 예를 들어 자기에게만 유리하게 해석하고 객관적인 상황을 보지 못하는 경우도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남편의 억압적인 행동을 꾹 참아오다 갑자기 집을 나가고 바람을 피웠던 아내의 예처럼 상대방의 싫은 점을 오래 참다가도 갑자기 돌아서 버리곤 하는 것이 인간 알레르기의 증상이다.

그럼, 이렇게 인간 알레르기를 내가 겪고 있을 때 어떻게 벗어나야 하는가 하는 해법이 뒤쪽에 차근차근 나와 있다. 어쩜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러 가지 해법이 있지만 한 가지를 보자면 과민 반응을 막아 본다.

1) 사실과 추측을 구분한다.'

그 사람의 행동과 내 추측을 구분해 본다. 표정이나 분위기, 태도에서 그 사람을 짐작해 버리면 관계는 나아지지 않는다. 추측 부분에서는

'어차피 추측이다. 사실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다. 나쁘게 생각햐며 고민하는 것은 그만두자'라고 되풀이해서 자시을 타일러 본다.

2) 확대 해석을 멈춘다.

사실이 아니거나 일부 사실을 가지고 확대해석 해버리면 결국 자신만이 고립되기 마련이다.

3) 남들은 생각보다 나의 일에 관심이 없다.

나만 싫어하는 것 같다, 나만 따돌리는 것 같다.실제로는 내가 '신경과민' 또는 '자의식과잉'이기 때문에 나를 노려보는 것 같다, 나를 싫어하는 것 같다라고 느낄 수 있다. 남들은 나에게 그만한 관심이 없는 데도 그렇다. 실제로 인간은 자신이 어떻게 보일지 고민하면서도 남에게는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다.

해결 방법 쪽을 살펴보면 더욱 숙제를 안게 된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내가 싫어하는 혐오하는 그 사람이 '악인'일 가능성보다 나 자신에게도 원인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나자신을 들여다 보는 데 참으로 도움이 되었다.

누군가를 미워하는 것은 굉장히 소모적인 일이다. 자신도 그렇고 주변도 그럴 수 있다. 내가 거슬리는 그 사람의 행동이나 말아 고쳐지기는 당연히 더 어렵다. 이를 해석하고 대하는 나를 바꾸는 것이 더 쉽다는 것이다. 쉽지 않은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조금씩 해나가야 한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 리뷰어스 클럽의 소개로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