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스 베네딕트 - 인류학의 휴머니스트
마거릿 미드 지음, 이종인 옮김 / 연암서가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스 베네딕트는 일본 문화에 대한 심도 있고 아름다운 분석이 예리한 명저 국화와 칼을 저술한 인류학자이다

그녀의 저작 국화와 칼을 나는 우연히 읽어 본 적이 있는데 시종 문장속에 흐르는 유려하고도 적확한 분석과 타문화에 대한 섬세한 해부와 관찰이 참 아름다운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었다 그러니까 분석이 아름다운 희귀한 좋은 저술이었었다고 나는 기억한다

그런 저술을 읽을 기회는 그리 흔치 않다

그런 그녀이지만 가끔 동성애의 역사에서 그녀의 이름을 발견하게 되는 때가 있다

여성으로서 동성애를 했던 위인의 역사에서 그녀의 이름은 빠지지 않고 언급되었 것이다

그녀의 유명세는 의외로 다른 곳에서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그런 그녀에 대한 전기가 나왔다

그러나 이 전기는 그녀에 대해 너무 영성한 양을 제공한다

그녀의 삶을 이루는 중요한 기둥들에 대한 짧고도 지나가는 듯한 언급으로 생의 중요한 개념들을 그냥 휙 휙 지나간다

그래서 어째서 그런 삶을 살아갈 수 밖에 없었는지 자세한 이유와 과정들이 간단 간단하게 생략되다시피 되어 있어 루스 베네딕트라는 사람에 대한 기초 지식이 없는 사람이라면 잘 모를 수 있다

이 책이 증보판 비슷하게 먼저 나온 책을 뒤이어 다시 나온 것이라고 하는데 그 전의 먼저 나온 상세하고 두꺼운 책이 더 나을 것 같다

루스 베네딕트는 평생동안 자신이 속한 사회로부터 소외감을 느꼈다고 한다

집안의 종교를 받아들이지 않았기에 집으로부터 소외감을 느꼈고 결혼해서는 남편으로부터 소외감을 느꼈고 남성 중심의 대학에서는 인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다가 소외감을 느꼈고 레즈비언이란 제약 때문애 또 소외감을 느꼈다고 한다

이런 장애를 헤쳐 나가는 수단으로써 자신의 학문에 매진하였고 그 덕분에 심리적 안정을 찾은 듯하디

학문을 하는 학자로서 그리고 한 사람의 여성으로서 자신의 정확한 정체성을 확립하고 몰두한 한 여자

한 사람의 인생의 정립을 도운 학문이 인류학이란 것에 어떤 의미가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