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방은 빛을 쫓지 않는다 - 대낮의 인간은 잘 모르는 한밤의 생태학
팀 블랙번 지음, 한시아 옮김 / 김영사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방은 빛을 쫗지 않는다라는 말은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과 역설적이란 생각을 했다. 보통은 야행성 생물들이 빛을 보고 인간 가까이 오지 않는가?

하지만 책을 읽어보니 그들이 빛을 좋아해서 온다라기 보단 도시의 빛공해에 이끌려 좋지 못한 서식지에 갇히는 것이었다. 도시에 갇힌 그들은 좋지 못한 서식지 패치에 갇혀 소규모 군집으로 살아갈 것이다. 그 작은 패치에는 한정된 자원을 둔 소비자들간의 경쟁이 심해질 것이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동물의 종 감소는 모두가 알고 있었으나. 가장 많은 곤충종인 나방을 통해 알게 된 이 현실이 너무나도 우려스럽게 다가온다.



이 책은 나방에 관한 책이 아니다.

작은 나방 덫 (쥬얼박스)이라는 작은 생태계이다.

수년간 덫에서 관찰한 나방을 통해 영국에서 사라진지 알았던 종을 다시만나기도 하고, 일정기간 주기로 특정 종의 개체수가 늘어나는 것도 관찰했다.

그것을 보고 아직 희망이 있다고 느낀다.

저자는 연약한 실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최근 최재천 교수님의 강연을 가보고 저서를 읽으며 "손잡지 않고 가는건 없다."

"알면 사랑하게 된다"라는 말을 다시금 새겨보게 된다.



하지만 이 책은 환경에 대한 내용만 나오는 것이 아니다.

학술적인 부분을 시적인 문체로 써서 순화해서 이야기 하여 아름다움을 더하고 있다. 다소 많은 분량과 전문용어의 등장으로 난해하다 생각할 순 있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깊이있는 이해가 가능하며 다 읽고 난 후엔 가슴속에 남는 책이었다.

생태학을 공부하거나 알고싶은 입문서로 읽기 좋으며, 어린학생들도 중간중간 나방 삽화가 많이 나와 보여주기 좋다. 초4인 우리아들은 해골박각시 부분을 읽어보고 흥미로워 영상을 찾아보고 참 좋아했다. 나방이 "찍찍"쥐소리를 내며 돌아다니고 등위엔 해골무늬가 선명하며 눈은 뻥뚫린 모양이니 정말 신기하고 특이했다.

꼭 한번 읽어볼 만한 도서이고, 어린아이들에겐 그림이라도 보여주고 싶은 멋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