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어른이 되면 말이야 걸음동무 그림책 2
게턴 도레뮤스 글.그림, 강효숙 옮김 / 걸음동무 / 200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번역해 놓은 제목부터 정겹고 호감이 간다. 한 번 휙 읽고 나면 그냥 연필로 아기자기하게 그려 색칠한 귀여운 책이구나 싶지만 이 책의 진가를 알려면 찬찬하게 시간을 들여서 그림을 들여다봐야 한다.

아침 7시45분, ‘또 늦겠구나!’란 엄마의 우려와 함께 집을 나선 구스타브란 아이, 어째 심상치 않아 보인다. ‘지각대장 존’의 프랑스판이라 여겨도 괜찮을지.
구스타브가 학교 가는 길을 따라 책장을 넘길 때마다 장면이 바뀌면서도 내용이 연결되는 그림인데, 학교에 도착한 이후를 제외하고 거꾸로 보아도 상관없이 잔재미가 있다.

수염을 예쁘게 다듬는 면도기를 발명한다든지, 오리와 얘기할 수 있는 기계, 어린이들만 다닐 수 있는 작은 길, 산책하고 싶은 어디든 갈 수 있는 기계, 키를 크게 해 주는 기계 ,특별한 장치가 달린 기차, 지붕 위의 길, 소방차 사다리보다 더 긴 사다리, 한 눈에 세상을 볼 수 있는 기구, 세계 지도 위에 표시할 정도로 큰 배를 자기가 어른이 되면 만들겠다는 상상을 하며 주위의 온갖 것에 관심을 기울이던 주인공은 결국 학교에 지각하고 만다. 자신과 비슷한 시각에 등교하던 반 친구는 이미 자리에 앉아있었는데 말이다. 코트를 벗었어도 모자와 같은 붉은 색 윗도리를 입은지라 여전히 눈에 띄는 구스타브를 보면 작가의 친절도를 짐작할 수 있다.

언뜻 아무런 연관이 없어 보이지만 사람들을 겹치게 그려서 나타낸 분주한 거리, 도둑과 이를 쫓는 경찰, 한데 어우러진 새나 개 등 동물들의 그림 속 이야기는 곧 구스타브가 속한 세계인 것이다.

연못 위로 떨어진 낙엽들이 세계 지도 모양인가 하면, 에펠 탑 모양을 한 우체부 아저씨도 기발하다. 지하철 역, 의자에 묶어 둔 줄이 끊겨 어느 부인에게 달려드는 개를 보는 순간 흡~ 웃음이 절로 나기도. 교실에서 자를 들고 있는 선생님 장면부터 눈금 모양인 점도 꼼꼼함을 느끼게 하는 등 거듭 볼수록 따뜻하고 유쾌한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