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박물관 : 명품도록
고려대학교박물관 엮음 / 그라픽네트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근래들어 (한동안) 명품이란 말이 일부 프리미엄 브랜드들의 마케팅과 맞물리면서 주로 외국의 럭셔리 브랜드 제품들을 연상하는 용어로 많이 쓰인 것 같다. 사실 명품이란 말은 그전부터 있었겠지만 잘 사용하지 않았던 것 같다. 80년대의 도록에 명품이한 말이 등장하는 것을 보면미술관이나 미술품들에는 이미 8-90년대부터 사용되었던 것 같다. 도록의 장점은 사진으로 직접 사물을 보면서 설명을 같이 들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 같다. 또한 박물관 보다는 훨씬 편안한 자세로 감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시대의 유행을 반영하여 박물관 소장품중에서 선별한 작품들을 모아놓았다. 두고두고 보며 즐길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삼성을 생각한다
김용철 지음 / 사회평론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 안 읽었지만 책도 안사신 분들이 별 한개를 주셨네요. 한분이 다 작성하신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자 밥먹지 마라
키이스 페라지 외 지음, 이종선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5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그렇지 않아도 혼자 밥먹는 일이 잦아지기에... 게으름을 탈피하고자 구매...변신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가올 세대의 거대한 폭풍
로렌스 코틀리코프 외 지음, 김정혜 외 옮김 / 한언출판사 / 2004년 10월
평점 :
절판


 탐욕이 인간의 매우 기본적인 자연스러운 심성의 하나임을 거부하는 것 자체가 얼마나 험난한 인생을 살 것이라는 전주에 지나지 않음을 깨닭았을때 역시 험난한 인생은 이미 시작된다.  

 기성세대 아니 현재의 주력세대는 예상대로 매우 탐욕스럽다. 그건 미국 뿐만이 아닐 것이다. 이 책은 미국 책의 번역이라 온통 미국 이야기 뿐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지식 사회가 얼마나 미국의 영향에 있는지, 미국화 되었는지 스스로에게 물어보면 대답은 많이 그렇다 쪽에 치우치지 않나 싶다.  

 한국은 미국 사회의 어느 시점, 어느 지역의 단면을 그대로 보여주지 않나 놀라게 된다. 어려서부터 세대의 탐욕과 절제를 배우지 않으면 인간 심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가진 권력과 경제력을 이용해 정말 자연스럽게 더 자기 것을 챙기는 것을 배워나갈 것이다.   

 이전 미국의 기성세대들이 그렇고 대한민국의 기성새대(오히려 주력세대라고 부르는 것이 맞지 않나 싶다. 나이는 의미가 없다.)들이 그렇게 변할 것이다. 

 한국 사회의 경우 기성세대들은 다가올 새대는 커녕 자녀 세대에게도 (자신의 자녀들을 제외한 다른 이들일 것이다.) 아무것도 남겨주고 샆지 않을 것이다. 'The winner takes it all'이 아니고, 'The winner will spend all that they can afford'라는 말이 나올 것이다.  

 같은 저자의 'Spend 'til the End'를 구매해 보려고 한다. 아울러 프리런치도 사서 읽어보려고 한다.  

 좀 더 나가는 것 같지만... 사실 국회, 지방의회가 일반 시민을 대신해서 정부, 지방정부가 예산을 아무데나 쓰게 하는거 이제는 정말 화가 난다. 주로 그 예산을 보고 달려드는 불나방들은 대체로 건설 토목사업에 관련하는 사람들이 많다하니 더 그렇고 지방의회 의원들 다수가 건설 토목사업 관련자라는 사실도 화난다. 궁극적으로는 내가 낸 세금 다 어디 쓰이는지 알고 싶다. 이게 바로 정치 전문가들(의원들과 주변 사람들...)이 일반 시민들을 왕따 시키는 이유일거 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취미의 탄생 - 백화점이 만든 테이스트
진노 유키 지음, 문경연 옮김 / 소명출판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의 취미에 대한 학문적 연구로 일제 이전에 한국에도 영향이 많아 참고가 됩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피대디 2010-04-29 0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전에 취미란 말에 꽂혀서 보던 책입니다. 대체 한국에 취미란 말이 언제부터 등장했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해서... 본격적인 것은 상업주의를 밀고 들어온 일제시대 부터인 것으로 국내의 많은 연구논문, 책들, 저작물 들이 밝히고 있습니다. 취미란 말 자체가 소비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에서 출발한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