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린 희망 유재현 온더로드 6
유재현 지음 / 그린비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쿠바 여행기네"

처음 이 책을 봤을땐 그런줄만 알았다.
하지만 "느린 희망(부제 : 지속가능한 사회를 향해 인간의 걸음으로 천.천.히" 라는
책의 제목이 말해주듯이 이 책은 단순한 놀고먹고 다녀와서 쓴 여행 에세이가 아니다.

부에나비스타 소셜클럽, 사회주의 국가, 체게바라, 혁명,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피델 카스트로의 독재정치 등  단편적으로만 알려져 있던 쿠바에서 행해지고 있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노력과 가능성을 보여주는 기록모음이자
저자의 짧막하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메세지가 담겨있는 책이다.

『 시장경제의 사회적 부재는 경쟁의 부재 또는 극적인 순화를 의미했다. 강한 자들과 약한자들,
적합한 자들과 부적합한 자들은 모두 다윈의 사슬에 묶이기를 거부했다. 학교는 출세의 경쟁터가 아니었으며 단지 배움의 장이었다. 자본이 없으므로 누구도 축적하지 않았다. 시장이 없으므로 학교와 병원은 오직 공공의 논리와 복지의 논리에 의해서 운영되었다. 차별이 없으므로 흑인과 뮬라토, 백인은 그저 인간일 뿐이었다. 잔혹하게 인간의 뇌수를 적출하고 허리를 부러뜨리는 시장과 경쟁의 수레바퀴를 매달지 않은 체제는 인간의 걸음으로 천천히 움직였다 』

- 머리말 중에서

소련의 몰락과 미국의 경제봉쇄로 극도의 빈곤상태에 빠진 쿠바..그러나 쿠바는 그 위기를 변화의 기회로 삼았다. 환경을 파괴하고 물질만능 주의를 맹신하는 선진국들의 과정을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생태와 환경과 인간이 함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법들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도시농업, 유기농업,선진국 수준의 교육, 라틴 아메리카 최고의 의료수준..
힘들지만 인간의 걸음으로 천천히..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현 쿠바의 모습이다.

저자는 쿠바의 서부, 중부, 동부, 아바나를 누비며 그들의 삶을 담은 큼지막한 사진과
역시 큼지막한 글씨의 짧막한 에세이와 함께, 책 중간중간에 "쿠바 리포트"라는 부제로
쿠바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설명을 친절하게 정리해 놓았다.

나처럼 쿠바에 대해 많이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은 한번에 쉽게 읽혀지지 않을 것 같다.
그러나 이 책을 읽고 나면 새롭게 알게 된 쿠바의 매력을 뿌리치지 못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