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네의 일기
안네 프랑크 지음, 데이비드 폴론스키 그림, 박미경 옮김, 아리 폴먼 각색 / 흐름출판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Anne Frank's Diary 안내의 일기

안네 프랑크 지음. 아리 폴만 각색.데이비드 폴론스키 그림.박미경 옮김. 흐름출판

솔직한 이야기. 누군가에게 내마음을 터놓고 나의 모든것을 다 쏟아낼 수 있다는것.

누구보다 나에게 제일 솔직할수 있는 안네가 너무 이쁘고, 이쁠수록 안쓰럽고 슬펐던 이야기.

어쩜 나는 누구보다 나를 제일 모르고 살고 있는건 아닌지, 아님 모른척 하고 살고 싶은건 아닌지?

일기장이란걸 써본적 언제인지 까마득한데, 문득 누구보다 일기장에게 내 속내를 좀 터놓아 볼까 하고 고민하게된다.

안네의 이런 솔직한 이야기가 극한 상황이였기 때문일까?

달빛조차 제대로 바라보지 못하는 그곳에서 지내는 동안, 꽃상추로 한달, 시금치로 한달, 그렇게 한달한달 생명을 겨우 유지할 정도의 먹을거리로 지내는 그곳에서도 안네가 아쉬워하던건 물질적인것이 아니였다.

자유와 신선한 공기. 창가에 앉아 밖을 내다보면서 신과 자연의 존재를 느낀다는 그 기쁨을 행복이라 한다.

"부와 명예 따위는 영영 잃을 수 있지만 마음 속의 행복은 잠시 흐릿해질 뿐 언제나 그 자리에 있을거야.네가 살아 숨 쉬는 한 언젠가 되살아나 다시 행복하게 해줄 거야. 외롭거나 슬플 땐 날씨가 좋은 날을 골라 다락방에서 밖을 내다보도록 해. 줄줄이 늘어선 건물 지붕이 아니라 푸른 하늘을 바라봐. 담대한 마음으로 하늘을 볼 수 있다면 마음이 맑아지고 다시 행복을 찾으리란 사실도 알게 될 거야."

담대한 마음으로 하늘을 볼 수 있다면.... 그 하나만으로도 행복 할수있는 건 비단 안네만이 아닌데, 우린 너무 많은 행복들에 치여서 정작 하늘을 바라볼 여유마저 가지고 살지 못하는듯하다.

10살 첫째 아이가 일주일새 두번을 읽어 내려간' 안네의 일기 완전판 그래픽 노블'

아이는 전쟁의 이유, 학살의 이유에 대해 계속 질문해왔지만, 그 이유를 어찌 설명할수있을까? 기차안에 싣려가던 사람들과, 끝내는 발각되어 안네와 언니 마르고의 삶의 끝조차 내 아이에게 이야기 해주기가 왜 그리 미안하던지. 그리고 '지금은 괜찮지? 이젠 다 괜찮지?' 란 질문에도 쉬이 괜찮다 말할 수 없던 지금 이시간에도 벌어지는 전쟁들에 말문이 막혀버렸다.

홀로코스트를 다룬 여러 책들이 상상할수 없는 끔찍함에 읽는 내내 두통을 자아냈다면, 안네의 일기는 읽는 내내 먹먹함에 숨쉬기가 어려워진다.

이해가 안되는 이 숨막히는 상황을 담담히 견디어야 할 수 밖에 없던 소녀는, 그 안에서도 그저 살아짐이 아닌 삶을 갈구하고 또 갈구한다.

할 수 있는 일이라곤 뭐든지 해나가려하고, 책을 읽고, 또 다른 언어를 공부하며 계속 나아가길 다짐하던 아이 안네.

지금도 세상 어딘가에 있을 안네, 마르고, 페터가 마구 생기고 있을거란 생각에,80년만에 반복되는 이 전쟁을 진짜 막을순 없는건지 묻고 싶다.

지금 일어나고있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에서는 과연 누가 승자라 할수있단 말인가? 모든 전쟁은 패자만 있을뿐, 그 누구도 그 아무도 이유도 모른채 죽어가는 아이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도 사과하지도 않을터인데 말이다.

작은 아이 안네가 이토록 꿋꿋히 살아가고 있었음을 모두가 다시금 기억해줘야할 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 열린책들 세계문학 6
안톤 파블로비치 체홉 지음, 오종우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범하게 살아간는 사람들. 그저 보통 사람들 이라는 말이 얼마나 어려운말인가.


다복한 가정속에서 건강한 부모님의 사랑을 담뿍받고, 크게 부족함없이 먹고 배우고 자랐고, 적당한 시기에 결혼해서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아이둘과 함께 우리의 집을 마련해서 뜨신밥 뜨신국 이렇게 나열해대는 이 모든것으로 난 평범한 보통 사람들이라고 할수있을까?


다 거기서 거기인것 같은 삶속에서도 들여다 보면 각자의 사연들이 시리즈 소설책으로 무한히 발행될만큼이나 다양하다.


하루하루가 시트콤이고, 하루하루가 멜로였다가, 쎄드 무비가 되기도하고, 살벌한 스릴러 수준으로 부부싸움을 하기도하는 우리네 삶이다.


그런 하루하루가 지나간다. 눈물이 마구 흐르던 날들도 지나고, 아이들의 까르륵거림의 날들도 지나간다.


그런 하루하루가 나의 삶을 가득 채워나간다.



공간과 시간을 뛰어넘어 여기 책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인물들 _ 안톤 파블로비치 체호프의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에는 여러개의 단편이 실려있는터라, 인물 하나하나 소개하긴 어렵겠지만, 지금 이시대와는 다른 1800년대 후반 그 시대를 아우러는 보통 사람들. _그들의 이야기가 지금 우리네 이야기와 뭐가 다를까? 여전히 삶을 고민하고, 행복을 찾아야하고, 신념을 지키기 위해 애쓴다. 로맨스가 있고, 이별과 배신도 있다.


그때나 지금이나 늘 가까이 있는 사랑은, 행복은 잘 눈치채기 힘든가보다.



"나를 사랑했던 사람들은 나의 곁을 스쳐 지나갔고, 꾀꼬리가 노래를 불렀고, 건초 냄새가 났다. 기억 속에서는 사랑스럽고 멋진 이 모든 것들이, 누구에게나 그렇듯이 나에게도 흔적도 없이 빠르게 지나갔다. 안개처럼 아무런 가칟도 남기지 않고 사라졌다.... 그것들은 모두 어디에 있는가? "



"사실 그는 자기 의지와 상관없이 어떤 우연에 의해서 무(無)에서 이세상으로 불려 나온 것입니다. 왜? 그는 자기 존재의 의의와 목적을 알고 싶어 하지만, 누구도 그에게 말해 주지 않고 혹시 말해 준다 하더라도 그저 무의미할 따름입니다. 그가 두드려도 문은 열리지 않고, 죽음만 찾아옵니다. 그것도 역시 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말입니다."



17편이나 실린 이 책에서 단연 오래도록 페이지 페이지를 넘기기 힘들었던 이야기 <6호병동>을 조금 소개한다.


정신병원에 환자들의 소개되고, 그들을 관리하는 간호사와 병원관계자들 그리고 이 병원의 의사로 시작되는 한사람 안드레이 에피미치가 전지적 시점에서 이야기된다.


병원의 의사로 시작되는 안드레이가 갈구하던건, 그저 시시껄껄한 의사놀이가 아닌 지성에 대한 갈굼아니였을까?


병동에 갇힌 이반 드미뜨리치. 피해 망상이있음을 본인 스스로가 잘알고, 환영과 현실을 구분지을수 있던 사람.


사상을 가지고 있고, 생각이라는걸 할수있던 이성적인 사람. 안드레이는 그런 이반과의대화가 이곳의 유일한 지성적 대화라 즐겁기만하다.


그들의 대화가 책속에 쓰여진 부분이 실제 어느 정신병자가 아닌 높은 수준의 학자들의 대화라 해도 믿겨질만큼 삶에 대한 태도를 논하기도하고, 서로를 설득시켜나가는, 각자의 신념을 이야기 하는 또하나의 이야기로 재미지기도했다. 그렇게 즐겁게 대화에 푹 빠지던 안드레이가 그 병원의 환자로 갇히게되는 과정이 시작되면서는 그게 또 그렇게 억지가 아닌 그를 바라보는 다른이들의 시각에서 끄덕여졌던 부분이여서 충격이 또한번온다.


이야기의 흐름이 반대로 굽이쳐 흐르는데.. 그게또 억지로 퍼서 넘기는게 아니라 하나의 물줄기로 굽이굽이 자연스레 흘러간다.


아이고 맙소사..하면서 앞장에 앞장에 앞장을 다시 읽게되더라. 그리고 이이야기의 결말은 또 어떠한가? 스포가 될것 같아 더 적진 못하지만.. 심히 큰 충격이였다. 짧은 단편의 이야기에 심장이 쿵. 그리고 또 쿵. . 또 마지막에서 쿠궁 하고 떨어져나가는 이야기라니..


소설, 즉 허구의 이야기임에도 실화같거나. 혹은 현실에서도 별반 차이없이 벌어질법한 이야기. 그리고 1800년 그시절이나 지금이나. 아.. 변함 없이 반복되는 "사람" 이야기.


순간에 찰나에 갈채와 박수를 받던 지식인이 허무하게 정신병자로 몰리기가 어찌 비단 안드레이만의 이야기일까?



내 의도가 순수했더라도 나를 바라보는 이들의 모두가 그러하지않다 하면, 과연 나는 순수했던걸까? 아닌걸까?


진심은 결국 통한다생각하며 뚝심있게 우뚝서있는다면, 그건 자존감이 높은걸까? 고집이센걸까?


모든이들의 맘속에는 내가 모르는 혹은 나도 잘 알지만 드러내기 싫은 그러한 내면이 존재한다면 현실속으로 검은수사처럼 등장한다면 과연 나는 인정할수있을까? 끝까지 부정해야할까?


모든 사람의 불륜이라 말하지만 나만큼은 이제야 진정한 사랑이라고 하는건? 안타까운일일까? 그저 그런 3류 이야기일까?


이 어찌 200년전 이야기지? 바로 어제 내옆에서도 벌어지는 일들인데말이다.



이야기들의 결론들이 심히 흥미로와 처음엔 시트콤보듯 읽어내려가다가, 어느 순간부터 읽고 또다시 읽어내려가면서 의미를 곱씹게되었던, 재미있지지만 가볍지않게 마음을 눌러주던 안똔 체호프의 '개를 데리고 다니는 부인'이다.





시간이 조금 지나면 또 읽고 싶어 질것 같다. 그때에는 또다른 물음에 보태 부디 조금은 명료한 답을 해낼수 있길 바라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라클 모닝의 힘 - 놀라운 기적을 만드는
김프리 지음 / 원앤원북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단한 사람이 어디있냐 싶게 잘난사람들이 즐비한 요즘이지만, 꾸준함과 성실함은 정말 박수쳐줄만한 대단함 아닐까? 누구에게나 똑같이 주어지는 시간을 좀더 다르게 사용하는 친구가 여기있다. 대단하지 않지만 대단해질 사람.. 누구나 할수있다. 힘주어 말하지않고 그냥 보여준 사람의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네의 일기
안네 프랑크 지음, 데이비드 폴론스키 그림, 박미경 옮김, 아리 폴먼 각색 / 흐름출판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초등저학년 아이가 안네의 일기를 알고 물어오네요. 책쟁이 아니랄까봐 함께 이야기할수있는 도서들이 생겨 너무 좋아요. 재독의미로 그래픽을 접할수있어서 좋네요. 아이도 슬쩍 봐주길 기대하면서 소장해봅니다. 너무기대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7월 14일
에리크 뷔야르 지음, 이재룡 옮김 / 열린책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네 민주주의를 이루고자했던 그 탄압의 시간들속 민중들이 떠오르는 프랑스군중이다. 소설이라지만 실화같을 이야기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