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돌보는 묵상독서 - 품위 있는 인생 후반기를 위하여
임성미 지음 / 북하우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음의 여유가 없이 아슬아슬한 줄타기로 몇개월을 지낸느낌이다.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고, 내 입에 넣는건 늘상 소홀하기 일쑤였고, 보태서 머리속까지 넘치는 생각들로 진짜 나를 돌볼여유도 옆사람 돌볼 여유도 없이 지낸 2023년 내나이 마흔초반이였다.

대단한 일을 해서가 아니였다. 늘상 하던 일들에서 조금만 방향이 틀어져도 이젠 뭔가 새로운것을 한다는것 자체가 나에겐 두근거림과 설렘과 동시에 온몸이 풀긴장하는 나는 중년이 되어버린것에 실감되었던 한해였다.

그럼에도 일과 삶의 균형과 나와 내사람에 대한 보살핌을 잘 해나가기 위해 연말이 되어서야 다시 억지 시간을 내본게 나에겐 책읽는 사치이다.

얼마전 비욘나티코의 '내가 틀릴 수도 있습니다'를 읽어내려가며 웃다가 울다가를 반복하던 날들이 있었다.

심지어 웃으며 눈물흘리며 멍하니 문장을 들여다보고 또 들여다보던 시간들이 있었다.

명상에 관심이 생겼고, 나를 돌보는 홀로인 시간에 소중함을 깨달았고, 아마 지금 나에게 딱 필요한 시간이였기 때문에 더더욱 깊이 와닿았던것 같다.

해서 다음책으로 시작한 책'나를 돌보는 묵상독서'였다.


이 책은 그냥 가벼운 저자의 독서 기록용쯤이라 생각하고 시작했다.

서른여덟편의 독서론과 일흔권의 책이라는 책소개란의 문구 때문이였을지도 모르겠다.

책의 총평을 감히 먼저 하자면, 수십권의 인생교과서 필독서들을 소개하고 안내하는 또다른 필독서의 느낌이다.

이미 읽은책이 등장할때면 반가움에 밑줄이 그어지고, 아직 읽지 못한 책들의 구절이 소개될때면 나도 모르게 온라인 장바구니에 책을 담고있는 아주 설득력 강한 책이였다.

팥죽할멈의 이야기 책에서도, 비욘 나티코의 이야기에서도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이야기에서도 저자는 한결같이 삶을 살아가는 자세, 내마음결에 대한 이야기, 해서 나를 감싸고있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환경에 대한 이야기를 담담하고 편안하게 풀어나간다.

나다운나와 소박한 즐거움과 깊은 행복을 누리기 위한 인생의 후반기

각박한 시간들이 초단위로 흐르는 12시간짜리 시계의 틀안에서 나는 얼마나 내시간을 내시간답게 쓰고있을까?

해야만하는 일들이 아니라 하고싶은일들을 하는 시간은 과연 얼마나되는걸까?

저자는 일단 멈추고, 침묵하고 귀를 기울이라한다.

저자는 깊이 바라보고, 사랑하라한다.

지금 이 순간의 참다운 나(True-Self)를 느껴보라한다.

아침 저녁으로 책을 짬짬히 읽어나가면서 다짐해본다.

내가 무너지지않고 단단하게 성장하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2024년에는 3가지를 챙겨야겠다.

1. 7시간의 수면

2. 아침독서시간

3. 저녁운동시간

책속 누군가처럼 하루아침 번쩍이는 빛을 보기를 희망해서가 아니다. 주변의 모두를 사랑하고 깊은 평화를 누리고픈 욕심도 없다. 2023년 버거웠던 하루하루들을이 깊숙히 기억되기전에 이또한 지나가고 이또한 성장임을 애써 포장하고 싶은건지도 모르겠다. 한해를 되돌릴순없으니 한해를 잘 포장하고 싶은건지도 모르겠다.

하루하루의 늦은 생각정리들로 주저앉기보다 조금더 힘을 내보려는 애쓰는 하루들이다.

그런 나의 힘겨운 하루하루사이에 찰떡같은 지침서로 와준 길잡이책 '나를 돌보는 묵상독서'였다.

2024년에는 아마 이책에서 소개된 서른여덟편이 독서 목록이 되지않을까 싶다.



"내 고통의 가장 깊은 원천은 나 자신의 정신패턴에 있다. 고통은 외부 세계의 객관적 조건이 아니다. 나 자신의 정신이 일으키는 정신적 반응이다. 이것을 깨닫는 것이 고통의 발생을 그치는 첫걸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