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카의 여행
헤더 모리스 지음, 김은영 옮김 / 북로드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치와 잤나? 그렇다고 들었는데."

"이곳에 있던 많은 사람들처럼 나를 이곳에 끌고 온 사람들이 하라는 대로 할 수밖에 없었어요."

"세실리아 클라인 너를 크라쿠프로 보낸다. 그곳에서 너의 운명을 결정할 것이다. "

"안 돼요. 나한테 이럴 순 없어요. 나는 전쟁 포로일 뿐이에요."

아우슈비츠 비르케나우 강제수용소.

그 소름끼치는곳에서 소련군을 마주하고 나치의 시대가 끝났음을.

"너는자유야." 라는 말을 듣기가 무섭게 다시금 듣는 끔찍한소리였다.

"매춘에 스파이 나치와 결탁한 죄로 노역 15년형에처한다. 여기에 동의한다고 서명해"

그녀의 선택은 늘 두가지중 하나였다. 열여섯 그 어린 나이에 깨우친 그 선택은 눈앞에 놓인 좁은길로 들어설것이냐 죽음을 택할것이냐.

그 좁은길로 또다시 들어서는 세실리아 클라인. 친구들은 그녀를 실카라고 부른다.

아우슈비츠에서는 가스실로 향하는 마지막 구역의 구역장으로 살아가야만했고, 그곳에서 자신이 무엇인가를 할수있음이 아니라 그무엇도 할수없는 상태로 같은 민족들을, 친구들을 심지어 엄마를 가스실로 향하는 트럭에 실어보내야했던 그렇게살아가야만했던 순간순간을 감히 아무 말로도 그녀를 위로할수없으리.

그런 그녀에게 자유가 아닌 또다른 지옥행이 기다리고있었다.

전쟁이 여자에게 가해지는 모든 행위들을 보고, 겪을수밖에 없던 열여섯의 어린소녀가있다.

그녀에게는 견디고 견디어내어 살아남을 이유가있었고, 그런 것들은 분노가되고 불씨가되어 그녀를 버티게하는힘이되기도, 또 그 불씨때문에 눈에띄고 선발된다.

아우슈비츠에서는 언니와 엄마를 위해 살아야만했고, 이제 그녀는 지옥행 열차에서 함께한 조시를위해서.

그리고 그곳에서 태어난 그곳 모든이들의 희망이되어준 나티아를 위해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책의 소개글을 처음 접했을때, 늘그렇듯 주저함이 먼저 앞섰다.

당할수있는 모든 일들을 당하고도 무너지지않고 버티고 살아준것으로도 모잘라 스스로를 다시 일으켜세우는 모습들은 진정 지금 이시대를 이렇게 편히 살고있는 나에게 너무 많은 것을 던져주었다.

나자신만의 편안한 삶을 위해서가 아니였다.

아마 그속에서 나만 살겠다고 했다면 버티어내지못했을거다.

지금 우리의 삶에서도 그것만은 명백하다.

혼자만의 행복은 진정한 행복이 아닐테니깐.

공유할수없는 행복은 또다른 외로움일테니깐.

실카, 그녀는 그순간에도 나의 행복이 아닌 누군가의 행복을 간절히 바랬던것아닐까?

마지막 순간, 그곳을 나서는 그녀에게 던져진 그녀의 행복에 이책을 읽는 내내 미어지던 가슴이 조금..아주조금 위안이되었다. 그조차 미안함으로..

많은 이들을 기억했음 한다. 그리고 그녀의 용기를 반에 반에, 반이라도 닮길, 간절히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