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할머니 집에서 ㅣ 보림어린이문고
이영득 지음, 김동수 그림 / 보림 / 2006년 8월
평점 :
이 책은 어른과 아이 함께 읽어도 좋은 책이다.
나오기는 초등 저학년 용이라지만
유치원 생부터 할머니 할아버지까지 함께 읽어도 좋은 책 같다.
그냥 농촌 이야기가 아니다.
자연이 살아 있고,
사람이 살아 있고,
생각이 살아 있는 이야기다.
이 책에는 솔이가 할머니 집에 가서 겪는 이야기가
네 편 소개 되어 있다.
첫 번째 이야기는 ‘내 감자가 생겼어요.’다.
어른이나 아이나 자기 것에 대한 애착이 있게 마련인데
시골을 재미없어 하던 솔이가
자줏빛 꽃이 피는 내 감자가 생기면서 점점 자연빛이 물들어간다.
이야기 속에 두더지가 등장한 것도 동물을 좋아하는 아이들 심리를 잘 알고 한 것 같고,
또 시골 현실을 잘 알고 있는 듯하다.
꽃이 지고 나서 내 감자를 찾지 못하자 감자를 홱 집어 던지던 솔이가
나중에 자주감자가 주렁주렁 달린 내 감자를 찾은 다음에는
두더지한테 ‘이거 하나 갖고 가!'하고 소리친다.
얼마나 사랑스럽고 자연과 하나 된 모습인가.
나눈다는 것...
그리고 돌려준다는 것...
이렇게 모든 게 서로 나누어지고 원래 가야할 곳으로 돌려줄 줄도 알아야함을
나이든 나도 새삼 깨닫게 된 글이다.
두 번째 이야기는 ‘또글또글 망개 목걸이’다.
세상에...또글또글이란 말이 어디 숨었다 작가의 입을 빌어 나왔을까.
망개한테 이보다 더 어울리는 표현을 없을 듯하다.
파름파름하다도 그렇다.
작가는 곳곳에 이렇듯 아름다운 우리말을 살려 썼다.
이 이야기는 상구가 망개를 먹어보라고 해서 먹은 솔이가
맛 없고 떫다고 망개를 뱉어버리고, 남은 망개를 마당에 뿌리면서
상구더러 ‘촌뜨기’라고 한다.
그래서 상구는 씩씩거리며 가버리고...
그 뒤 그래도 상구가 망개 목걸이를 만들어 몰래 솔이한테 선물한다.
솔이는 상구한테 가서 망개목걸이 만드는 법을 묻고...드디어...
세 번째 이야기는 ‘말 잘 듣는 호박’이다.
호박이 열리지 않자 할머니가 새끼줄로 호박을 위협한다.
그걸 보고 동생 갖고 싶은 솔이가 엄마한테 가 새끼줄로 때리는 시늉을 하는데
아이 맘이 잘 나타나 있다.
게다가 보름 뒤에 호박은 아기 호박을 몇 개나 매단다.
솔이는 호박을 매달게 한 할머니와
할머니 말을 알아들은 호박한테 경이의 눈을 보낸다.
네 번째 이야기는 ‘꼬꼬꼬 닭이 아파요’다.
이 이야기는 상구네 닭이 설사병이 나고,
솔이랑 상구가 청소도 해 주고,
메뚜기도 잡아주고,
이질풀을 썰어 모이에 섞어 주면서
닭들을 정성껏 돌보는 이야기다.
줄마다 아이들 사랑이 녹아 있다.
특히 병아리를 키워 알을 낳게 키운 상구는
닭한테 일일이 이름까지 지어주었다.
이름들이 너무 재미있다.
잘 나는 비행기,
청개구리를 먹은 꿀꺽이 등...
나중에 상구가 솔이한테 금방 낳은 달걀을 선물하는데
달걀이 단단해졌다. 그걸 보고 솔이가 너무 좋아한다.
게다가 따듯한 달걀이 상구 마음 같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글과 그림이 전체적으로 너무 잘 어울린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그림이다.
바로 자기들이 그렸을 법하게 그려졌기 때문이다.
주인공 심리도 그림으로 잘 나타나 있다.
표정들이 하나 같이 아이의 순진한 모습 그대로다.
입이 삐주룩이 나온 모습이라든지
기뻐서 입이 크게 벌어진 모습이라든지 너무 귀엽고 재미있다.
이 책을 보고 나면
아이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한참 동안 잔잔한 웃음이 얼굴에서 떠나지 않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