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와 조선 석조문화재로 보는 역사
정성권 지음 / 학연문화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차

Ⅰ. 석조문화재로 보는 고려의 역사

제1장 태조 왕건을 보는 또 다른 시각 : 미술사와 고고학을 통하여

제2장 광종과 발해유민의 콜라보레이션 :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제3장 황즉보살 사상의 구현 : 여래형 복식 착용 보살상

제4장 고려 불교 조각의 정수 : 탑 앞에 무릎 꿇은 공양보살상

제5장 사자산문의 자랑 : 영월 무릉리 마애여래좌상과 청석탑

제6장 종교와 정치의 예술적 결합 : 남한강 유역의 탑비

제7장 폐사지의 꽃 : 원주 지역 주요 사지의 석탑

제8장 대표적 지방양식 불상 : 용인지역 석조불상

Ⅱ. 석조문화재로 보는 조선의 역사

제9장 바람 부는 언덕에서 도시로 : 제주도 돌하르방의 기원과 전개

제10장 숭유억불 시대 조선의 돌부처 : 조선전기 석조불상

제11장 경복궁의 수문장 : 해치상의 탄생과 의미

제12장 조선말기 시대의 반영 : 경복궁 석수조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려와 조선 석조문화재로 보는 역사
정성권 지음 / 학연문화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차

Ⅰ. 석조문화재로 보는 고려의 역사

제1장 태조 왕건을 보는 또 다른 시각 : 미술사와 고고학을 통하여

제2장 광종과 발해유민의 콜라보레이션 :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제3장 황즉보살 사상의 구현 : 여래형 복식 착용 보살상

제4장 고려 불교 조각의 정수 : 탑 앞에 무릎 꿇은 공양보살상

제5장 사자산문의 자랑 : 영월 무릉리 마애여래좌상과 청석탑

제6장 종교와 정치의 예술적 결합 : 남한강 유역의 탑비

제7장 폐사지의 꽃 : 원주 지역 주요 사지의 석탑

제8장 대표적 지방양식 불상 : 용인지역 석조불상

Ⅱ. 석조문화재로 보는 조선의 역사

제9장 바람 부는 언덕에서 도시로 : 제주도 돌하르방의 기원과 전개

제10장 숭유억불 시대 조선의 돌부처 : 조선전기 석조불상

제11장 경복궁의 수문장 : 해치상의 탄생과 의미

제12장 조선말기 시대의 반영 : 경복궁 석수조각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라딘고객센터 2021-04-02 18: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불편드려 죄송합니다. 담당부서 전달하여목차 정보 반영 되었습니다. 정확한 정보 보여 드릴수 있도록 신경쓰겠습니다. 이후 이용하시면서 불편하신 부분은 나의계정>1:1고객상담으로 연락주시면 신속하게 안내 드리고 있으니 참고해주십시오. 편안한 시간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실크로드의 대제국 천산 위구르 왕국의 불교회화
조성금 지음 / 진인진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세 가지 놀라운 점
1. 독일, 일본이 아닌 우리나라에서 발간된 최고 수준의 실크로드학(불교회화) 학술서라는 점
2. 올 칼라, 접지된 지도를 통한 뛰어난 가독성
3. 책의 퀄러티 대비 착하다 못해 출판사 망할 것 같은 가격! 특템한 기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