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로역정 고전의 숲 두란노 머스트북 1
존 번연 지음, 정성묵 옮김 / 두란노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꿈이 나오는 이야기하면 나에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구운몽이라는 소설이다. 이 소설 속에서 이 가지는 기능은 아무래도 인생의 무상함을 독자들에게 깨닫게 해주는 것일 것일 것이다. “모든 것은 꿈이었다!”를 통해서 말이다.

     그러나 내가 읽은 천로역정의 꿈은 조금은 다른 의미로 내게 다가왔다. 만화책으로 읽은 것까지 포함해서 이번에만 이 책을 세 번째 읽게 되는 지금에서야 말이다. 특히 이번에 두란노에서 나온 천로역정을 통해서 이러한 관점을 얻게 되었다.

     그렇기에 이 글에서는 먼저 두란노에서 낸 천로역정이 어떠한 특징(장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소개한 후, 꿈이라는 관점으로 내가 이 책을 읽고 난 후기를 소개하고자 한다.

 

 

어떻게 책이 재구성 되었는가?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나는 천로역정을 지금까지 세 번이나 읽었다. 처음에는 만화책으로, 그 다음에는 책으로, 그리고 이번에는 두란노 머스트북에서 낸 것으로 읽게 되었다. 그렇기에 이 책의 어렴풋한 아웃라인에 내게 선재해있다는 것을 감안해야할 것이다. 그럼에도 이번에 이 책을 읽으면서 왜 고전이 계속해서 새롭게 구성되어야 되는가?”에 답을 얻을 수 있었다.

     그렇다면 도대체 이 책이 어떠길래 나는 이러한 말을 하고 있는가? 첫 번째는 이 책의 가독성 때문이다. 전에 만화책이 아닌 책으로 천로역정을 읽었을 때에는 꽤나 시간이 걸렸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문장이 애매모호하거나 와닿지 않는 표현들이 있어서였다. 그러나 이 책은 이삼일 만에 다 읽게 되었을 정도로, 글이 술술 읽혔던 것 같다.

     또한 위에서 재구성이라는 단어를 썼듯이, 이 책은 기존의 천로역정에다가 독자들이 독서의 이정표로 삼을 수 있을 만한 것들을 함께 포함시켰다. 이 것은 이 책이 가진 큰 매력이다. 특히 천로역정같은 경우에는 수많은 인물들의 이름과 장소의 이름이 등장한다. 그렇기에 독서에 집중해 이야기에 파묻히다보면 자칫하다가 전체적인 맥락이 놓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각 챕터마다의 이동 노선과, 키워드들을 해쉬태그로 달아두어서 독자들이 다음 이야기로 들어가기 전에 그 이야기들을 미리 조망할 수 있는 거리를 만들어 준다.

     위에 설명한 것들 뿐만 아니라 이 책에 포함된 삽화들이나 책의 전체적인 디자인 또한 현대의 독자들에게 이 책이 매력적이게 다가오게 하는 요소들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혹시 나처럼 예전에 천로역정을 읽었던 분들도 꼭 또 한 번 이 책으로 읽어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잠자는 자여 깨어서 일어나라

 

     위에서 책의 전반적인 특징들을 이야기했으니 이제 여기서는 이 책을 읽고 느낀 포인트를 간략히 나눠보고자한다. 이 책의 전체적인 구조는 황무지를 걷고 있는 가 동굴에 들어가 꿈을 꾸는 것으로 시작하여, 잠에서 깨어나는 것으로 끝난다. 이 책의 이야기는 나의 꿈의 관계에서부터 파생되는 것이다. 물론 깨어났다라는 표현이 224p에서도 등장하긴 하지만, 그 뒤로도 내가 꿈에서 보니라는 문장이 나오는 것으로보아 292p의 깨어남이 최종적인 깨어남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줄곧 꿈의 내용을 서술하던 는 이렇게 말한다.

 

 

그렇다. 이 모든 것이 다 꿈이었다.”

  

  

“    가 꾼 꿈, 그 모든 것, 이 책의 대부분의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 그 것은 다름 아닌 크리스쳔이 멸망의 도시에서 천성으로 향하는 힘겹고 치열한 여정이다(물론 소망도 함께 가지만). 이 힘겹고 치열한 이야기가 이렇게 꿈이었다고 하니, 우리는 허무해 해야하는가? 그러나 어떠한 독자도 이 이야기의 결말을 보고 허무해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왜 그러한가?

     나는 그 이유가 이 책이 우리에게 잠에서 깨어나라라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책 속의 는 황무지를 거닐다가 피곤한 몸을 이끌고 동굴에서 잠이 든다. , “는 황무지를 거닐다가 피곤해진 순례자이다. 그는 어디론가 가고 있던 자이다. 그러나 그는 잠시 그의 가던 길을 멈추고 그의 꿈, 즉 이야기에 주목한다.

     이는 바로 우리에게 독자들을 연상시킨다. “는 이야기의 서술자이면서, “독자가 될 수 있지 않은가! 왜냐하면 우리 모두 또한 결국 황무지를 거니는 순례자이면서, 또한 이 꿈과 같은 이야기를 읽고 있는 즉, 꿈을 꾸고 있는 자들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이러한 구조 속에서 이 이야기의 결말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 자신이 순례자라는 것을 알게 해준다. 또한 다시 길을 걸으라고, 꿈 속에서 크리스쳔이 그랬던 것처럼 천성을 향해 치열하게 나아가라고 격려한다.

     그렇기에 나는 이 책이 우리에게 잠자는 자여 깨어서 일어나라라고 속삭인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고 있는 자여 이제는 잠에서, 꿈에서 깨어나 당신도 갈 차례입니다!라고 초대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나는 이 책이, 순례자가 순례자에게 주는 편지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모든 순례자들이 이 책을 읽었으면 좋겠다. 모든 크리스쳔들이 읽으면 좋겠고, 크리스쳔이 아니더라도, 길을 찾아 방황하는 모든 사람들이 이 책을 읽었으면 좋겠다. 황무지를 거닐다가 피곤하여 지친 몸을 이끌고 쉴 곳을 찾는 이들에게 이 책은 안전한 동굴이 될 것이며, 그 곳에서의 꿈이 그들을 격려하고 힘을 북돋아 다시 그들이 순례자임을 깨닫게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