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포 가는 길 황석영 중단편전집 2
황석영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달은 일하던 공사판에서 공사가 중단되어 갈 곳 없이 떠돌게 된다. 그러던 중 삼포라는 자신의 고향을 찾아 떠나는 정씨를 만나게 되고 둘은 같이 동행을 하게 된다. 정 씨는 감옥에서 출옥을 한 뒤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이었다. 정씨도 영달처럼 교도소에서 목공, 용접 기술 등을 배워 공사판을 찾아다니는 노종자였습니다. 둘은 목적지로 가는 중 찬샘이라는 마을에 들리게 되고, 술집에서 국밥을 먹던 도중 사장에게 도망친'술집 작부'를 찾아 달라는 요청을 받게 된다. 사장은 여자를 찾아오면 만 원을 주겠다고 약속합니다. 둘은 술집에서 나온 후 감천으로 이동하던 중 술집에서 도망친 백화를 만나게 됩니다. 18살부터 집을 가출해 술집을 전전하고 있는 백화의 사연을 들은 둘은 미음이 들어 백화와 동행을 시작합니다. 셋은 목적지로 이동하면서 추위를 잠시 피하기 위해 폐가에 들리게 되고, 그곳에서 백화는 영달에게 호감을 느끼게 됩니다. 백화는 영달에게 자신과 같이 고향으로 가자고 하지만, 영달은 무뚝뚝하게 반응하고 이를 거절한다. 이후 세 사람은 기차역에 도착하게 되고, 영달은 백화가 떠나기 전에 자신의 비상금을 다 사용해 백화에게 차표와 '삼립 빵'과 계란을 사준다. 백화가 떠난 후 남은 둘은 삼포로 가는 기차를 기다리는 대합실에서 노인을 만나고, 노인으로부터 삼포에 새로운 공사가 시작되었다는 사실을 듣게 된다. 그리고 삼포는 산업화가 진행되어 정 씨가 알고 있던 예전의 아름다운 모습이 사라졌다. 삼포의 뜻은 '바닷가의 숲이 울창한 마을' 이라는 뜻이다. 정 씨의 기억에 남아있는 삼포는 아름다운 섬이고, 비옥한 땅이 남아도는 평화로운 장소이다. 하지만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고향에 공사가 새로 시작되었고, 본래의 모습을 잃게 되었고, 이는 1970년대 산업화로 고향을 잃는 사람들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