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력 - 권기태 장편소설
권기태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2월
평점 :

자신의 삶에서 가장 동경하는 한 분야가 있을 것이다. 나에겐 글을 쓰는 작가들이 항상 동경의 대상이었다. 그래서 내가 감히 넘볼 수 없는 곳이라는 생각이 컸고 그와는 상반되는 일들을 하며 내가 사랑하는 일을 직업으로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행운인지를 어른이 되면서 더 크게 실감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것에 다가갈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을 때 그것에 도전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후회 없이 최선을 다해 임했다면 결과와는 상관 없이 삶의 큰 터닝포인트가 되어 줄 것이다. 그렇게 자신의 일상을 버리고 꿈을 찾아 떠나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언제 들어도 가슴 벅차다. 그것이 미지의 넓고 광활한 우주에 대한 것이라면 더더욱 마음이 부풀어 오를지도 모른다.
한때 그토록 동경하던 우주인의 세계...
흘러가버린 시간이 찾아와 다시 감싸는 느낌이 들었다.
땅 밑을 흐르던 과거의 물줄기가 강바닥에서 스며 나와
지금의 현실에 섞여 들고 있었다.
좋은 기회를 만난 것이다.
우주에 대한 꿈을 가지고 있던 샐러리맨 이진우는 우연한 기회에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인 선발 공고를 발견하고 지원한다. 하지만 우주인에 한발자국 다가갈수록 현실 생활은 점점 힘들어진다. 일하는 연구소에서 좌천 통보를 받기도 하고 아버님의 건강이 악화되기도 하며 그는 과연 우주인이라는 자신의 꿈을 목표로 나아가는 것이 과연 맞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생기기도 한다. 많은 위기 끝에 최종 4인에 오르고 나머지 후보들과 러시아의 가가린 센터로 가지만 그 곳에서도 힘든 훈련과 경쟁이라는 혹독한 상황과 마주한다. 최초가 아니면 기억되지 않는 냉혹한 현실 앞에서 내가 선발 되기 위해서는 이기적인 사람이 되어야 하지만 이진우는 그러지 못한다. 비록 경쟁자이고 이 사람을 쓰러뜨리지 않으면 내가 올라갈 수 없지만 그럼에도 그에게는 중력처럼 사람들을 끌어안고 품어주는 힘이 있다.
최초의 우주인은 한명밖에 될 수 없다. 누구와도 나눠 가질 수 없는 그 영광을 위해 후보자들은 힘든 검사와 훈련을 이겨낸다. 그렇게 올라간 최종 후보의 자리에서 그 누가 욕심이 나지 않을까. 각자 사연은 달라도 우주에 대한 동경과 꿈은 그 누구의 것도 소중하지 않은 것이 없다. 그런 상황에서 4명의 경쟁자들은 극심한 스트레스에 놓이고 갈수록 심해지는 경쟁은 각자를 점점 더 이기적으로 만들어 간다. 내가 그 중의 한명이었어도 분명 욕심이 생길 것이고, 상대방을 생각할 여유까지 가지진 못할 것 같다. 하지만 주인공인 이진우는 경쟁심도 크고 자신의 생각을 뚜렷하게 윗 사람에게 요구하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자신을 위해 함께하는 동료들을 쉽게 내치진 못한다. 승자가 되기 위해 왔지만 그는 승자가 되는 것 보다 더 중요한, 승자의 됨됨이를 지니고 사람들과 나누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기 때문이다. 사실 모두 알고 느끼고 있는 것이지만 자신의 삶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에 나보다 우리를 생각하기는 쉽지 않다. 나라도 절대 그렇지 못했을거라 생각되니 말이다.
앞날은 지금 나에게서 출발한다.
삶에는 승리보다 더 고귀한 것이 있다.
나는 살고 싶은 것이다.
속에서 솟구치는 삶, 진정한 삶을.
이 책을 읽다보니 2006년 우리나라의 첫 우주인을 선발할 때의 일들이 어렴풋이 떠올랐다. 떠들썩하게 뽑힌 우주인 이소연씨가 생각났지만 그 외의 다른 후보들은 기억조차 나지 않는다. 그만큼 우리 인류의 최초, 우리 나라 최초라는 타이틀이 얼마나 큰 힘을 가지고 있는지, 우리의 삶에서도 그만큼 똑같은 노력을 했음에도 2등이기에 잊혀진 많은 사람들이 스치듯 생각난다. 그래서 사람들은 어떻게든 1등이 되기 위해 물불 가리지 않고 노력하는 것이겠지. 하지만 등수나 타이틀보다 중요한 건 스스로 그 과정에서 후회나 미련이 남지 않게 최선을 다했느냐가 아닐까. 나부터도 항상 모든 일의 결과에 연연할 수밖에 없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내가 가진 꿈에 다가가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그리고 후회 없이 모든걸 쏟아 부었다면 미련 없이 다시 시작할 수 있는 힘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았던 것 같다. 진부한 교훈처럼 느껴지는 이야기일지 모르지만 작가가 13년이란 긴 시간동안 조사하며 준비했던 신비롭고 흥미로운 우주의 세계와 더해져 중력처럼 그 감동이 우리를 끌어안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 때 누구나 가지고 있었을 자신만의 꿈과 동경을 잊고 사는 수많은 어른들에게, 처음 그것을 만났던 경이롭고 환상적이던 그 순간을 다시금 떠올리게 해주는 소설이 아닐까 싶다.
용기는 계속 할 힘이 아니다.
힘이 없어도 계속하는 것이다.
우레 같은 외침만 용기가 아니다.
쉬었다가 다시 해보자.
나지막이 속삭이는 것도 용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