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 불확실한 삶을 돌파하는 50가지 생각 도구
야마구치 슈 지음, 김윤경 옮김 / 다산초당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이라는 단어가 가지는 딱딱함과 거리감, 좁히려 해도 잘 좁혀지지 않는 거리가 있다. 학교에서 배웠던 이름도 어려운 철학가들의 사상은 단편적인 명언처럼 여겨졌고 한번도 그것이 내 일상생활에 깊이 필요하다고 느꼈던 적은 없었다. 시험을 치고 나면 휘발되는 텍스트일 뿐. 그런 평범한 삶을 살아가는 내게 철학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가진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인문학의 중요함을 강조하는 소수의 사람들과 그럼에도 외면하는 수많은 사람들 틈에서 이것저것 잡식성으로 책을 읽던 내게 시시때때로 읽혀졌던 많은 글 중 하나가 인문학, 특히 철학 책을 읽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철학은 절대 우리 생활에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는 말을 여러번 듣다 보면 나도 모르게 그런가?하는 생각이 들지만 그럼에도 철학이라는 분야의 장벽은 높게만 느껴진다. 그래서 올해는 진입 장벽이 낮은 입문서 성격의 책부터 시작해 보기로 마음 먹었을 때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를 읽게 되었다.


 

본래 철학이라는 것은 사회라는 커다란 시스템의 일부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는 극히 평범한 사람이

‘더욱 나은 삶’을 살고 ‘더 좋은 사회’를 건설하는 데

공헌하는 길잡이가 되어야 한다.


 

우리는 왜 철학을 배워야 할까? 저자가 말하는 가장 큰 이점은 첫째, 상황을 정확하게 통찰할 수 있고 둘째, 비판적 사고의 핵심을 배울 수 있으며 셋째, 정확한 어젠다를 설정하고 넷째, 비극을 되풀이 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철학 입문서와는 조금 다른 이 책은 지루함을 유발하는 시간 순서가 아닌 철학자들이 남긴 다양한 개념들을 콘셉트에 따라 정리해 사람, 조직, 사회, 사고의 네가지 콘셉트에 따라 나누어 깊이 통찰한다. 과거의 철학자가 남긴 사회에 대한 고찰이 우리에게 중요한 길잡이가 되어 주는 것이다. 또한 이 책은 현실의 쓸모에 기초해 유용성을 토대로 쓰였고 핵심적 철학 사상 외에도 경제학, 문화인류학, 심리학, 언어학의 내용도 함께 다루고 있어 여타 철학 입문서와는 다른 느낌을 받게 한다.

 

 

 

일상적 고민부터 비즈니스 전략까지 다양한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철학이 굉장히 쉽게 다가온다는 느낌이 들었다. 철학자들의 말이 어렵게 느껴지는 건 사실이다. 굉장히 지루하기도 하고.. 다행히 저자는 사람들이 지루해 하고 힘들어하는 포인트를 아주 잘 알고 있다. 그래서 그런 것은 배제하고 편하게 다가가고 흥미롭게 읽을 수 있게 구성했다. 사실 철학자들이 그 사상을 펼쳤을 때와 지금 우리 시대의 갭은 굉장히 크기에 어찌보면 지금 우리에겐 당연시 되는 명제들을 보며 그 오류에 대해 실망하거나 부자연스럽게 생각되는 순간이 있다. 하지만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철학자들이 살았던 그 시기의 사고와 시대상을 생각하라는 것이다. 그 얘기를 듣는 순간 시간이 흘러도 우리에게 이어지는 철학자들의 위대함이 새삼 느껴지기도 했다.

철학이 실용적이라는 생각을 가진 적은 없었던 것 같다. 어느정도의 거리감을 느끼며 힘들게 도전하고 읽어내야 할 학문이라는 생각이 컸는데 이 책을 읽다보면 철학이 우리 생활에서 끊임없이 밀착되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시기나 학파에 상관없이 주제에 맞춰 엮어져 있어 훨씬 쉽고 이해하기도 쉬웠던 것 같다. 한 철학자에 대해 깊이 알 수는 없지만 이 책을 통해 좀 더 흥미가 생긴 철학자에 대해선 따로 책을 읽어볼 예정이다. 사실 철학은 입문서 조차도 어렵고 지루해서 그 뒤로 점점 더 깊이 있는 독서로 이어지기가 힘든데, 좋은 책으로 시작하는 철학은 절대 어렵거나 이해되지 않는 것이 아닌 이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선 꼭 알아야 하고 우리 생활에 적용시킬 것이 무궁무진한 흥미로운 학문이라는 이미지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내 삶을 더 단단하게 만들어 주는 철학이라는 새로운 무기를 이 책을 통해 모두가 가질 수 있다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