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아로니아공화국
김대현 지음 / 다산책방 / 2018년 6월
평점 :
나의 인생이지만 태어나며 내가 선택할 수 없는 것들이 있다. 성별, 부모, 국가등.. 헬조선이라 불리는 한국에 태어난 수많은 사람들은 비록 스스로 선택하지 않았음에도 고스란히 헬조선의 고통을 견뎌낼 수 밖에 없다. 오는게 있어야 가는게 있고, 인풋이 많을수록 아웃풋 역시 많아질 수 밖에 없다. 나라가 모든 걸 다 해주길 바라는 것은 아니지만, 시민으로서 인간으로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조치는 취해져야 하고, 모든 주권은 국민에게서 나오는 것이고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라는 헌법의 내용이 무색할 정도로 최근의 한국은 국가로서의 제기능을 충분히 이행하지 못했다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나라를 내맘대로 바꾸는 것은 쉽지 않고, 그렇다고해서 시민으로서의 의무를 다하지 않을 수도 없다. 누군가 이상적인 나라를 건설하고 그 시민을 모집한다면, 주저없이 신청할 것 같은데 현실은 그렇지 못하기에 오아시스처럼 잡힐 듯 잡히지 않는 신기루 같은 망상일 뿐이다.
나는 자랑스럽게 이야기한다. 아로니아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 시민의 존엄과 자유와 행복을 추구한다. 시민은 늘 항상 언제나 국가권력보다 무겁고 소중하며 우선돼야 한다. 오로지 이것만이 아로니아가 존재하는 이유다.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허투루 여기는 국가는 국가로서 자격이 없다. 시민의 존엄과 자유와 행복을 나몰라라 하는 국가는 국가로서 존재 이유가 없다. 자격이 없고 존재 이유가 없는 국가는 반드시 사라져야 마땅하다. 잘라서 말한다. 아로니아 시민은 곧 아로니아 국가 그 자체다.
비록 소설일지라도 정말 자신들이 원하는 새로운 나라를 만든 사람들이 있다. 이름부터 상큼한 아로니아 공화국은 시민의 행복이 최우선인, 나라를 유지하고 존재하는 이유 자체가 시민인 나라다. 수많은 우리 시민들이 바라고 바라는 나라의 정체성이 아닐까. 아로니아 공화국은 잘 노는 것을 가장 중요시한다. 학교에선 노는 기술을 가르치고, 0세부터 매월 연금이 지급되며 군대도 필요없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자동차도 필요없다. 모두 다른 언어를 쓰고 여러 나라에서 새롭게 이주해 온 다양한 사람들이 섞여 살아가지만 그로인한 차별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생각만해도 행복한, 우리가 꿈꾸는 유토피아가 바로 아로니아 공화국 아닐까.
국가가 뭐냐고 물으셨죠? 아로니아가 뭐냐고 물으셨죠? 국가는 서로가 서로를 믿는 시민들이 만들고 세우는 보이지 않는 덩어리입니다. 아마도 지금 여러분은 서로가 서로를 믿는 국가가 필요한 것이겠죠. 그래서 저절로 모였고 이렇게 열심히 듣고 말하고 있는 겁니다.
아로니아 공화국은 2028년 6월 23일 건국되었다. 소설 속 아로니아 공화국이 건국된 것은 지금보다 10년뒤의 일이다. 하지만 과연 이 시대에 새로운 나라를 건국하는 것이 가능할까라는 의문이 들 수 밖에 없다. 비록 소설이라 할지라도 그것을 수긍할 수 있을 바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면 그저 허무맹랑한 판타지 소설로밖에 생각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실제 사실과 실존 인물을 기반으로 하여 상상력을 가미해 아로니아 공화국이 정말 실존할 수 있을것이란 믿음을 우리에게 심어준다. 한국과 일본이 서로의 주권적 권리를 주장하며 JDZ에서 국제분쟁을 시작하는 순간, 당당하게 JDZ 차지하여 나라를 세우고 실제로 현재 중국의 국가 주석인 시진핑이 등장해 조력자가 되어주기도 한다. 아로니아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건국위원장인 김강현이 한국에서 검사로 살며 겪었던 부조리와 선의가 사라진 양심 없는 자본주의는 우리가 현재 한국에 살며 느끼고 있는 것들과 별반 다를바 없기에 아로니아 공화국 건국의 정당성 또한 믿어 의심치 않게 된다. 소설 속에 제시된 모든 배경들이 어디까지가 진실인지 알 수는 없지만 어쨋든 아로니아 공화국이 만들어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을 수긍할 수 밖에 없고, 우리가 겪고 있는 현실의 힘든 상황과 딱 맞아 떨어지는 이야기들은 그렇기에 그저 허무맹랑한 판타지로만 느껴지지는 않는다.
하지만 아무리 시민을 우선으로 시민의 행복을 추구하는 국가를 표방할지라도 진정으로 인간을 위하는 국가는 세상에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재밌고 신나게 살기 위해 아로니아라는 국가를 만들었고 그로인해 아로니아는 행복할지 모르지만 아로니아의 시민은 행복을 강요받고 길들여진 것 뿐이며, 아로니아 역시 강하고 새로운 국가만이 남아 인간의 존엄과 자유와 행복을 추구하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소설의 말미에 결국 우리는 국가에서 사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산다는 이야기는 깊은 울림으로 다가온다. 사람과 사람 사이가 행복하다면 굳이 국가는 필요하지 않은 것 아닐까? 그 무엇보다 우리가 행복하게 사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니 말이다. 모두가 꿈꾸는 국가의 모습을 한 아로니아지만 국가가 가진 한계점을 피해갈 순 없다. 그래서 지금 우리가 속한 한국이라는 나라의 미래는 어떻게 될지에 대한 생각을 해보지 않을 수 없었다. 분명 유쾌하고 재밌고, 경쾌한 상상력과 웃음이 가득한 소설이지만 지금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살며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사실들을 번뜩 깨닫게 해주고 인간의 삶이 무엇을 향해야 하고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언제나 살았고 어디서나 살았던 사람은 영원하고, 사람이 만든 국가는 영원하지 않았다. 지나온 세상의 역사가 그랬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영원하지도 않을 국가를 영원하다고 믿는 것은 헛되고 터무니없는 아집이다. 사람과 사람이 즐겁고 행복하다면 추잡하고 초라하고 조잡스러우며 너절하고 파렴치하고 무능력한 국가가 왜 필요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