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놀러 가자고요
김종광 지음 / 작가정신 / 2018년 6월
평점 :

나는 분명 도시에서 태어났고 자랐고 지금도 살고 있지만 농촌 역시 나에겐 익숙한 곳이다. 아버지도 시골 출신이시라 어린시절부터 멀고 먼 골짜기 할머니집을 다녔기에 농촌의 풍경은 낯설지 않았었다. 하지만 할머니가 돌아가시며 혼자 사시던 시골에 내려갈 일이 없어졌고, 다신 시골에 갈 일이 없을 줄 알았지만 시골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우리 남편을 만나고 또 시부모님들은 아직 시골에서 살고 계시며 밭농사, 논농사를 지으신다. 그렇기에 어찌보면 비록 도시에서 살고 있지만 농촌은 내게도 적지 않은 인생의 바탕으로 깔려있어 낯설거나 어색하기는 커녕, 소똥 냄새나 퇴비 냄새, 아궁이를 짚이는 땔깜 타는 냄새나 벌레 소리, 새벽녘 암탉소리마저 내겐 너무나 익숙하기만 하다.

하지만 티비에서 그려지는 한적한 시골의 풍경이나 깨끗한 자연환경만이 농촌의 전부는 아니다. 도시 못지 않게 많은 이해관계와 상황들이 얽히고 설킨 곳이 농촌이다. 도시는 언뜻 복잡해 보이지만 어찌보면 도시처럼 간단명료하고 명확하게 짜여지고 단순한 곳도 없다는 생각이 들때가 있다. 아마 농촌에서의 삶의 모습을 조금이라도 알고, 이해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질지도 모르겠다. 그런 농촌의 다양한 모습을 담고 있는 소설이 바로 <놀러 가자고요>다. 충남 보령 출신으로 자신의 부모님 역시 아직도 소를 키우고 농사를 짓는 농촌 사람이기에 저자는 그 누구보다도 그들의 삶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 저자의 삶의 바탕속에 새겨진 농촌의 모습은 단순히 농사를 지으며 단순하고 평화롭게 살아가는 것이 아닐 것이다.
맞아요. 촌사람은 다 억울해요. 진정 원해서 평생 농사꾼으로 산이가 몇이나 되겠어요. 다들 불쌍해요. 가진 재주가 뭔지 알지도 못하고 안다 한들 펼쳐보지도 못하고.
9개의 단편 소설들로 구성된 이 소설집은 주된 배경이 되는 범골을 중심으로 어찌보면 9편이 모두 연결되어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각각의 이야기들이 서술되는 형식이 다르기도 하고, 그 주체도 모두 다른 것 같지만 사실은 모든 것이 다 연결되어 있다. ‘범골사 해설’과 ‘범골 달인 열전’으로 소개된 범골의 히스토리와 각각의 인물들의 소개가 이어지지만 그 뒤의 이야기는 오지랖댁과 노인회장의 이야기로 자세히 이어진다. 노인회장인 남편을 대신해 마을 사람들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며 놀러가자 설득하는 오지랖댁의 전화통화 형식으로 된 ‘놀라 가자고요’에서는 오지랖댁과 마을 인물들의 짦은 전화통화 만으로도 각자가 가진 사연들이 전해지며 이제 놀러갈 시간과 기회가 생겼음에도 젊은 시절 혹사하며 이미 고장나 버린 몸을 이끌고 갈 수 없는 많은 농촌 노인들의 상황이 야속하게만 느껴진다. ‘산후조리’에선 소를 키우는 일이 어떤 일인지, 얼마나 많은 것을 포기하고 희생하며 살아야 하는지를 절실히 느낄 수 있다. 욕을 하고 불평을 해도 소들을 자식처럼 애지중지 키우고 죽어가는 소들을 살리기 위한 오지랖댁의 정성이 소들에게도 고스란히 전해지며 그녀는 보람을 느끼지만, 못지않게 그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도 알 수 있다. ‘만병통치 욕조기’는 부모와 자식간의 관계가 가깝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너무나도 멀다는 것을 이야기 한다. 4백만원이나 하는, 반신욕만으로 모든 병을 고칠 수 있다는 욕조기를 사고 싶은 부모와, 마음만은 당장 사드리고 싶지만 그럴 수 없는 자식의 속마음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어 부모의 입장도, 자식의 입장도 모두 공감이 되고 자식들이 볼 수 있는 곳에 자신의 일기장을 놔두고선 죽고 싶다는 이야기를 써두는 부모의 마음이 어떤 것인지 자식의 입장에서도 생각해 볼 수 있게 해준다. 농촌을 구성하고 있는 대부분이 노인들이고, 자식을 키워 독립시키고 부부내외 또는 사별을 하고 홀로 살아가는 경우가 많기에 외롭고 고립된 상황인 노인들의 삶과 시골과 도시라는 물리적인 거리만큼 멀어진 부모와 자식이란 관계에 대해서도 내밀히 살펴볼 수 있는 이야기들이 주를 이룬다.

도시의 직장을 다니는 삶에서 보람과 성취를 느끼긴 쉽지 않은 시대다. 적성에 맞지 않는 일을 억지로 해야하고, 돈 한푼이 아쉬워 버텨내는 직장생활에서 과연 책임감을 가지고 내 모든 것을 쏟아부으며 일하는 사람이 과연 몇명이나 있을까. 그냥저냥 시간 떼우고, 적절히 농땡이도 치며 그저 하루하루를 버틸뿐인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농사는 그럴 수 없다. 옛날말로 뿌린대로 거두는 것이 농사이고 딱 내가 노력한만큼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농사이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농촌에서의 삶을 시작한 사람들이지만 자신의 몸을 혹사시켜서라도 더 일하고 더 수확할 수 밖에 없었고, 그 결과 나이 들어 아프지 않은 곳이 없는 늙은 몸밖에 남은 것이 없다. 농사일이 쉽지 않다는 것, 농촌에서의 삶이 절대 녹록치 않다는 것은 알았지만 내가 기억하던 옛날의 농촌과 지금의 농촌은 또 다른 종류의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는 것을 이 소설을 읽으며 느낄 수 있었다. 농촌의 고연령화 같은 고전적인 문제점 뿐만 아닌 지금 현재 농촌의 모습과 갈등을 생생하게 담고 있기에 마치 소설의 배경인 범골 속에서 그 캐릭터들 하나하나가 모두 실존할 것만 같다는 착각을 불러 일으키기도 했다. 투박하지만 정겹게 느껴지는 사투리와 찰진 욕들, 곳곳에 녹아 있는 유머들이 잘 어우러져 가장 생생하게 농촌의 모습과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표현해 냈다는 생각이 들었다. 농촌과 도시라는 너무나도 다르게 느껴지는 두 공간이지만 사실 사람 사는 곳은 자세히 바라보면 어디든 별반 다를바 없다. 하지만 지금의 농촌은 농사로 힘겹게 젊은 시절을 보낸 나이든 노인들만이 남아 힘겹게 명맥을 이어가며 삶의 끝자락을 보내고 있지만 그들에게도 나름의 희망과 욕망이 아직 존재하고 사람들 사이의 갈등과 이런저런 사건이 발생하는 도시와 다를바 없는 곳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농촌의 이야기를 조명하고 또 그것을 생동감 있고 재밌게 풀어내어 많은 사람들에게 전하는 것이 어찌보면 소외된 많은 농촌의 실상을 가장 잘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우와! 솔직히 저는 얘들이 못 살 거라고 봤슈. 워칙히 살았지? 살라는 의지들이 강했구만. 그려, 참 보기 좋다. 조금만 거시기하면 못 살겠다고 살기 싫다고 확 가버리는 인간들보다 너희들이 훨씬 낫다. 안 그러냐? 누구는 뭐 희망이 넘쳐서 사냐? 열심히 사는게 사람의 운명이니께 그냥저냥 사는 거지. 사는 게 희망 아니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