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게 벌어도 잘사는 여자의 습관
정은길 지음 / 다산북스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만에 술술 읽히는 재테크 서적을 만났습니다. 일단 ‘적게 벌어도 잘사는 여자의 습관’이라는 책제목, 미모의 여인들, 빨간 표지가 시선을 잡아끕니다. 표지를 보고 책을 고르는 요즘 독자들의 경향을 반영한 것 같아 만족했습니다. 뒷면 표지를 보고 29살에 1억을 모아 내 집을 마련했다는 똑소리 나는 그녀의 습관은 무엇일까 궁금해하며 책장을 서둘러 넘겼습니다.

 

숫자에 약한 그녀가 주식이나 부동산 등 경제를 잘 몰라도 선택한 것이 바로 실천할 수 있는 생활재테크였습니다. 재테크라는 단어가 들어가 거창한 것으로 오해할 수 있지만 절약과 저축하는 습관이 생활재테크의 핵심입니다. 이게 뭐야 하고 반문할 수 있는데 원래 진리는 단순한 법이 아닐까요?

 

내가 직접 돈을 모아보니 재테크는 ‘지식’이 아니라 ‘실천’이었다. 재테크는 돈을 모으는 기술이 아니라 삶 그 자체이다. (p.8)

 

확실한 목표가 있어야 궁상스럽지도 않고, 힘든 순간이 닥쳐도 이겨낼 수 있는 자신감이 생긴다고 합니다. ‘내 집 마련’이라는 명확한 목표를 정하고 그에 맞춰 생활습관을 조절한 게 강력한 동기부여가 된 것입니다. 월급만으로 1억,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죠.

 

생활습관을 바로잡기 위해서는 위기의식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살다보면 항상 월급이 나오는 게 아니기 때문에 언제든지 위기상황을 생각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갑자기 어느 순간 수입이 끊기면 어떡하지?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진 시대에 살고 있는 직장인들이라면 한번쯤 고민해보는 질문입니다.

 

‘귀찮음을 즐기고 내가 움직인 만큼 지갑이 두툼해지는 경험을 할 것이다’라고 말하는 그녀는 불필요한 돈은 아낍니다. 가령 택시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옷은 직접 다리며 냉장고에 포스트잇 세 장을 붙여 식비를 절약합니다. 아나운서인 직업 특성상 옷값이 너무 많이 들어 협찬을 받기도 하고 자신이 직접 만들어 입기도 합니다. 인테리어를 배워 돈도 아끼고, 취미생활도 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립니다.

 

남의 돈도 내 돈같이 아까워해야 절약하는 습관이 몸에 밴다고 말합니다. 회사나 공공장소에서 내 것 아니라고 물건을 함부로 쓰게 되면 나중에 집에서도 습관이 남아 막 쓰게 된다고 하니 ‘습관이 참 무서운 것이구나!’ 하고 조심해야겠다고 생각해 봅니다.

 

돈을 모으는 목적은 모으는데 있는 게 아니라 잘 쓰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옛말에 “개처럼 벌어서 정승같이 쓰라”는 말이 딱 들어맞습니다. 잘 쓰는 것이 더 중요하죠. 경조사비나 부모님 용돈 등 꼭 써야할 곳에는 아낌없이 가치 있게 돈을 쓴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모든 일에 때가 있듯이 돈도 쓰는 타이밍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녀는 정말 돈을 잘 쓰는 법을 알고 있습니다.

 

가계부 쓰는 팁을 알려주는데, 아파트 관리비 고지서처럼 항목별로 세분화해서 쓰면 한 달 한 달 비교해서 지난달에는 얼마 썼고 이달에는 얼마 썼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생활비를 더 절약하거나 여유 있게 쓸 수 있습니다. 한 달에 한 번 시간을 내서 그래프로 시각화하면 더 좋을 듯싶습니다.

 

목표가 계속 있는 한 나의 생활재테크는 끝나지 않을 것이다. 지금보다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나만의 꿈을 위해 반드시 돈은 필요하니까. 특별한 기술로 일확천금을 노리기보다는 하루하루 조금씩 꿈과 가까워지고 싶다. (p.266)

 

이제 그녀는 인생의 터닝포인트를 맞아 퇴사를 준비하고 1년간 남편과 세계여행을 꿈꾸고 있습니다. 용기 있는 그녀의 도전에 응원의 박수를 보내고 싶습니다. 1년 뒤 생활재테크 내공이 세계여행이란 경험으로 더욱 다져지길 바랍니다. 모든 사람들이 그녀처럼 살 순 없겠지만 그녀의 생활재테크 습관은 한 번쯤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 이 서평은 해당 출판사의 도움을 받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