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화 플라톤 국가 ㅣ 서울대 선정 만화 인문고전 50선 4
손영운 지음, 이규환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즈음 탄핵정국으로 인하여....근본에 대해서 고민하게 만든다.
이전에 플라톤의 국가론을 책으로 보았는데..
다시보기에는 시간이 되질 않아서 만화로 보게 되었다.
책의 구성이 짜임새 있고, 원작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사실 만화이지만 그리 쉬운 내용은 아니다.
플라톤은 이상국가를 꿈꾸었고, 소크라테스의 제자이기도 하다.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시민 500명으로 구성된 법정이 소크라테스에게 사형선고를 내리는 것을 목격한 플라톤은 정치에 대한 관심을 딱 끊어버렸다.
그리고.....어떻게 하면 정의로운 국가를 실현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중요한 것은 교육을 해야한다는 것을 깨닫고 교육을 하였다.
플라톤은 이데아를 주장하였는데..
이데아는 보이는 현실 세계 너머에 있는 원형을 의미하는데,
우리가 보고 느끼는 것은 이데아의 모습이고, 원형이 아니다.
인간의 감각을 통해서 느낄 수 있는 모든 것은 가짜이므로 진리의 원천이 될 수 없고,
볼 수 없는 이데아가 진리라는 것이다.
이 쯤 가면 노자의 도덕경과 접목이 된다.
마흔살 무렵에 교육을 위해 아카데메이아를 세워서 제자들을 양성했다.
그 사이 시라쿠사로 가서 이상정치를 시험해보기로 했는데...
현실은 너무 멀었다.
2천년이 지난 지금...
우리나라는 플라톤의 국가론과 비슷한 상황에 직면했다.
법치가 아닌 인민민주주의로 대통령을 재판하려고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
탄핵도 법의 테두리 안에서 허용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국가의 기본 내지 근간이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국민의 피에는 사회주의가 흐르는 것 같다.
소크라테스는 왜 악법도 법이라고 했을까?
그 혜안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법은 사회 구성원 더나아가 국가의 국민간 약속이다.
그래서 공평해야하며, 감정에 치우쳐서는 안되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은 그런것이 아니라
법, 민주주의 등은 하나의 수단에 불과하다.
오로지 목적달성을 위한 도구에 불과하다.
왜 플라톤이 교육을 중시했는지...
우리 국민은 진실을 모르고 선동에 휘둘리는지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된다.
한 사람은 영원히 속일 수 있다.
모든 사람을 잠시 속일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을 영원히 속일 수 없다.
우리나라 언론이
진실을 보도하지 않고,
특정 목적을 가지고 진실을 왜곡하는 현실에서
국민들은 휘둘리고 있다.
특검, 국회는
무차별 적으로 초법적으로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면서 법치, 정의를 부르짖고 있다.
지식인, 국민들은 무서워서 아무말도 못한다.
공포정치의 시작이다.
이러한 불행은 우리나라가 6.25전쟁을 겪으면서 한 번 경험해 보았다.
낮에는 국방군이 점령하고, 밤에는 인민군이 점령하고
거기에 따라 완장차고 행세하는 사람도 있고...
죽어나가는 것은 국민 밖에 없다.
동굴의 비유에서
그 것이 현실에도 있을 것이라고 본다.
왜냐하면 동굴에 오래동안 있으면서 사물의 본질을 모르면서
나중에 사물의 본질을 보았을 때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우리의 현실이 그러하다.
세대간 도대체 얘기가 통하지 않는다.
어떻게 우리가 이렇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대통령이 미운 것을 법의 적용에 사용하면 안 될 것이다.
법은 냉철해야 한다.
보복의 정치가 난무하면 우리의 미래는 없다.
국민들은 감언이설에 속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미 2천년 전의 저작을 통해서...
정의란 무엇인지..
국가란 무엇인지..
국민이란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