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부터 글쓰기는 재능 있는 이들의 전유물로 여겼다. 책을 많이 읽었던 탓인가, 아무리 열심히 고심하고 퇴고해 봐도 그동안 책 속에서 빛난 문장들의 발꿈치도 따라가지 못하는 조악한 문장력에 홀로 고민하고 잘 안될 것이라 지레짐작했다. 하지만 그건 천 리 길을 한걸음에 달음박질하려 했던 우둔함이었단 사실을 최근에야 깨달았다. 눈이 머리에 달려있다고 손도 그렇지는 못하고, 둘의 사이엔 드넓은 갭이 있을 수 있다는 말이다.

눈과 손 사이의 거리를 메우는 데는 폭넓은 독서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게 현재 자신의 위치에 대한 피드백인 것 같다. 마치 항해에 나선 배가 방향을 모르면 목적지에 닿지 못하듯 피드백은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는 일을 막아주고 위치를 알려주어 스스로를 채찍질하게 한다. 천 리 길을 걸어야 하는 입장에선 빼놓을 수 없는 일이다.

첫 문장을 무턱대고 써보는 무모함도 필요하다. 첫 술에 배부를 리 없다고 성에 차지 않을 테지만 위대한 작가도 습작이 있었듯 일단 시작해 꾸준히 쓰면 그래도 조금은 달라지는 게 느껴진다. 나온 결과물에 대한 스트레스는 우선 마음 한편에 접어두고 써야 글쓰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사라진다. 다문, 다독, 다상량이라지만 그 못지않은 게 다작임이 틀림없다. 이번에 서평 강좌를 들으면서 부족했던 글솜씨가 미력하게나마 늘게 된 건 무엇보다 쓰러질까 두려워 한 발짝도 못나가던 교착 상태에서 벗어낫기 때문이라 단언한다.

독서에 대한 짝사랑에서 벗어난 것도 큰 성과다. 그동안 언젠가 보리라 사놓고 펴보지도 못한 책이 수십 권은 되었을 텐데, 그건 그동안 바쁘다는 핑계로 준 독서량이 고급 독서에 필요한 독서근을 쇠퇴시켰음이 틀림없다. 쉬운 책부터 어려운 책으로 천천히 다시 트레이닝을 해야 하는데도 조급한 마음으로 지금 수준에 맞지 않는 책들만 사댔으니 책의 무덤만 덩그러니 쌓이는 게 당연하리라. 모임을 통해 다양한 수준의 책들을 접한 경험이 독서근 부활에 큰 도움이 되었다.

글쓰기를 다시 시작하면서 목표가 생겼다. 장르문학을 평소부터 즐겨 읽으니 알라딘에서 이 분야의 마니아가 되겠다는 작다면 작고 크다면 큰 목표다. 달리기는 하면 할수록 더 달리고 싶어진다더니 책도 읽을수록 더 읽어야 할 책, 읽고 싶은 책이 늘고 이해의 깊이도 더해져 예전과는 다르게 더 폭넓은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는 느낌이다. 기왕 커진 독서근을 글쓰기 근육으로 전이시키기 위해 오늘도 빌린 책을 마저 읽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