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영화의 뒷모습이 좋다 - 이 책을 읽는 순간 당신은 그 영화를 다시 볼 수밖에 없다
주성철 지음 / 씨네21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동안 영화의 앞모습만을 보아왔다면 이 책은 영화의 뒷모습, 스크린의 뒤 공간으로 들어가게 하는 친절한 안내서이다. 책이 두꺼운 편이지만 익숙한 감독과 배우, 작품을 다루고 있기에 술술 잘 읽히는 책이다. 잘 쓰인 영화 평론을 읽으면, 우린 감독의 자리에 앉았다가, 미술 감독이 되었다가, 배우처럼 대사를 읊기도 한다. 영화 평론은 영화를 관람하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작품을 온전히 이해하는 방식이다.



이 책은 한 작품으로 다가가는 지름길, 우회로, 아직 길이 되지 않은 길까지 모두 보여준다. 그만큼 오랜 경력의 영화 평론가의 날카로운 시선으로 작품의 중요한 줄기를 파악하고 관객들이 놓친 디테일을 속 시원하게 잡아낸다. 따라서 독자는 '이 작품에서 내가 놓친 게 이렇게 많았나'하는 생각으로 영화를 다시 볼 수밖에 없게 만든다. 책 표지에 쓰인 문구, '이 책을 읽는 순간 당신은 그 영화를 다시 볼 수밖에 없다'의 단언적 메시지는 허세가 아니었다.



책은 크게 감독관, 배우관, 장르관, 단편관으로 나누어져 있고 감독관에서는 박찬욱, 봉준호, 류승완, 나홍진, 김기영 한국의 대표 감독들과 고레에다 히로카즈, 요르고스 란티모스, 마틴 스코세이지, 쿠엔틴 타란티노의 세계적인 감독까지 폭넓게 다룬다. 박찬욱 감독의 경우 그의 최근작 <헤어질 결심(2022)>까지 다루고 있어 시의적절하게 출간됨이 반가웠다.



우리가 보통 접하는 건 '영화 평론'이 아닌, '영화 리뷰'이다. 리뷰는 영화 전체를 대강 살펴보거나 줄거리를 추려내는 것이라면, 영화 평론은 그 말 안에 '評 평할 평'을 지니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사물의 가치와 우열을 따지는 전문적인 평가의 영역이다. 영화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도 있지만 평론자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도 짙게 묻어 있기에 나와의 의견이 갈릴 수도 있다. 그 또한 평론을 읽는 재미요소일 수 있겠다. 이 책을 본 후 영화를 보는 시야폭이 조금은 넓어짐을 느꼈다. 올해 안에 다시 보고 싶은 영화의 목록표가 긴 꼬리를 달았다.



___________출판사로부터 해당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