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잘하는 사람은 어딜가나 환영을 받는다.

요즘같은 시대에는 더욱 의사소통에 대한 중요성은 부각되고 있는데 『내 말은 왜 통하지 않을까』에서는 설명을 못하는 이유와 설명을 잘하는 방법에 대해 핵심적으로 알려주고 있다.

회사에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기를 즐겨한다.

보고서에 장황하게 설명하기보다 핵심적인 단어로 간략하게 보고하는 것이 일을 잘하게 보이고 보고서도 깔끔해진다. 그렇다보니 전달받는 입장에서 추상적인 표현의 남용으로 인해 구체적인 실천을 이끌어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내 말은 왜 통하지 않을까?'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내 말은 왜 통하지 않을까』에서 처음으로 말하는 쉬운 설명을 위한 방법은 '동작의 표현'을 사용하라는 것이다.

"여러분이 상대방 입장이라면 동사로 표현한 지시 내용을 듣고 곧장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길 수 있겠느냐는 겁니다. 예를 들어 "이것 좀 정리해 둬" 라고 지시를 내리는 경우라면 최소한 '나라면 이렇게 정리해야지'라고 머리속에 이미 그 대답을 생각해두고 있어야 한다는 말이지요. 스스로도 대답을 내놓지 못하면서 상대에게 모든 걸 일임한다면 상대방은 교육의 일환으로 생각하지 않을 겁니다. 서로간의 신뢰만 해칠 뿐이죠." p.31


3가지 핵심만 취하고 나머지는 버리라.

『내 말은 왜 통하지 않을까』에서는 너무 많은 정보를 과감히 버리는 용기가 필요하다고 한다. 사람들은 지나치게 많은 개수로 설명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과잉형 인간'이라면 과감히 3가지 핵심으로 설명함으로 상대방을 피곤하지 않게 고려해보자.


알아듣기 위한 설명을 위한 Tip

-정보를 시각화 하라

-종이 한장으로 요약하라


우리는 너무 많은 정보들에 둘러쌓여 하루를 보낸다.

뉴스피트에 쏟아지는 이슈들과 사건들로 이미 우리는 정보과잉의 시대에 노출되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사를 쉽게 설명하려면 장황하고 애매한 표현을 지양하고 실행에 옮길 수 있는 설명이 필요할 것이다. 시각적이면서도 과감하게 핵심만 담고 있는 설명이라면 상대방에게 쉬운 설명이라 할 수 있겠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전체선택 장바구니에 담기

전체선택 장바구니에 담기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