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있어서 괜찮아
임하운 지음 / 시공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대 청소년들의 알콩달콩한 사랑이야기가 쏟아져 나올 줄 알았다.


표지가 따뜻하고, 서로에게 큰 힘이 되어주는 사이처럼 보였기 때문일까?


책 표지와는 상반되는 듯한 책 내용


임하운 작가님이 그려준 한 장면 한 장면 초희와 채웅이의 모습을 섬세하게 묘사해준 탓이었을까?


스토리에 몰입되면서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읽어내려갔다.


위로와 위안이 되는 존재, 네가 있어서 괜찮아.


주인공 초희와 채웅이의 시점에서 번갈아가며 이야기를 한다.


꼭 어린 날 친구들과 주고 받았던 비밀일기장을 주고 받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초희의 관점에서는 어떻게, 채웅이의 관점에서는 어떻게 묘사가 되고 그려지는지


서로의 이야기가 궁금해졌고 그 이야기들을 쫓아가다보니 네가 있어서 괜찮아 속으로 빠져들었다.



처음 소설을 읽어내려갈 때, 겨우 중학생인 초희가 세상을 살아가는 방식이 너무 숨막히고 얼마나 힘이들까?하는 생각과 이렇게 살아갈 수밖에 없는 초희의 모습이 그저 안타깝고 속상했다.


초희와 채웅이의 서사가 더 깊이있고 자세하게 그려졌으면 좋았겠다는 아쉬움도 남는 스토리였지만


사실 그 이야기가 중요하지는 않았다.



초희화 채웅이는 백인우의 아버지에게 각각 언니와 동생을 잃었다.


그리고 그 사건에서 단 둘이 살아남은 생존자였고, 서로의 마음 속에는 자신들만 살아남았다는 죄책감과


마음 속에 같은 상처를 가진 아이들이었다.


그런데 그런 두 친구가 서로 가까워지던 중 같은반으로 전학온 살인자의 아들 백인우.


그런데 초희는 백인우에게 너의 잘못이 아니라고 말 해주고,


채웅이도 그런 초희의 이야기를 들으며 인우를 걱정해주기까지 한다.



나의 모습은 어떨까?


만약에 이런 경우에 나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소설 속 허구 이야기지만 현실속에서 없는 이야기도 아니다.


범죄자의 가족과 내가 가까이 있게 된다면 나는 그 범죄자의 가족을 단순히 그 사람으로만 볼 수 있을까?


그 존재만을 인정할 수 있을까? 범죄자의 아들, 또는 가족이라고 마치 그 범죄자처럼 범죄자 취급을 하고 욕하고 원망하지 않을 수 있을까?





같은 상처를 가진 아이들이지만 집안 환경이 정 반대인 초희와 채웅


초희는 찢어지게 가난하고 정신 못차리고 술주정뱅이에 가정폭력을 저지르는 그런 아버지에게서 제대로 된 보살핌을 받지 못하고 살아가는 평범하지 못한 차라리 없느니만 못한 부모 밑에서 죽지못해 사는 삶을 살아간다.


채웅이는 아버지와 누나와 함께 살아가지만 동생이 꼭 자기 때문에 죽은 것만 같은 죄책감 속에 빠져 살아간다.


가진게 없는 초희는 죽지못해 사는 삶을 악착같이 살아가기 위해 해서는 안될 행동들을 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 그 삶을 마냥 욕할 수만은 없었다.


그 아이도 살아가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한 행동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그 모습 조차도 있는 그대로 봐주는 채웅이.


그런데 정말 초희에게 다행인건 어떤 모습을 보이더라도 늘 옆에 있어줄 것만 같은 채웅이가 있다는 것.


그리고 그 채웅이 옆에서 조금씩 좋은 방향으로 변화할 수 있을 것만 같은 초희


서로에게 좋은 영향이 되어주는 두 사람의 모습을 보니 마음이 따뜻해져왔다.



책을 말미에 백인우. 연쇄살인자의 아들을 보며 초희와 채웅이가 보여주는 모습을 보며 과연 나라면?


하는 생각이 들면서 서로에게 옆에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힘이 되어주는 모습을 보여주는 초희와 채웅이의 모습에 나도 모르게 흐뭇한 미소가 지어졌다.


그리고 초희와 인우가 이제는 살고 싶어졌다고 말한다.


괜히 내 마음에 뜨겁고 눈시울이 붉어졌다.


무슨 짓을 하더라도 내 편이 되어주고 내 말을 들어주는 사람이 있다는 것 만큼 인생을 살아가면서 큰 힘이 되는 일은 없을 것 같다.


마지막 책장을 덮으며, 나는 과연 초희와 채웅이처럼 늘 내편이 되어줄 사람이 친구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