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럼버스는 머저리 로버트 A. 하인라인 중단편 전집 8
로버트 A. 하인라인 지음, 배지훈.조호근 옮김 / 아작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사람, 제리도 사람, 그 위의 왈도. 


참… 당돌한 제목이다. 사실 콜럼버스를 머저리라고 말 할 수 있는 사람은 현대에 많다. 그가 부르는 “신대륙”의 발견이 얼마나 인권침해적이며 타문화를 짓밟는 발언이었는지 우리는 이제 익숙해졌으니까. 하지만 어떤 맥락에서 <콜럼버스는 머저리>라고 말했는 지는 읽어 확인하기를 바란다. 책 영업하는 것 맞다. 


<제리는 사람이었다>는 기묘한 여운을 남겼다. 결과는 내 기준에서 정말 이상적인데, 이 과정이 참 기기묘묘했다. 돈많은 부인의 동정심, 그 이후에는 오기, 본능에 충실한 노동자, 돈에 충실한 변호사. 감정과 충동에 충실한 재판관까지 나온다. 

내가 나열한 것 중 하나가 ‘제리’에 대한 설명이다. 담배를 좋아하는 유인원이고, 그가 사람인 것을 인정받기까지 수많은 일이 있었음에도 제리는 담배가 좋고, 그것만 잔뜩 주면 무슨일이든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수식어들과 비교해보자. 제리가 그렇게까지 사람들과 다른 점이 있는 것 같지 않다. 이 하나의 연극에서 사람이라고 불리는 배역과 잘 어울릴 수 있다면 제리는 참으로 사람이지 않을까? 


사람, 사람 하면 여기 “사람”보다 한단계 위에 있는 왈도가 있다. <왈도>는 왈도Waldo의 이야기이다. 혹시 이 이야기를 아직 읽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충고 하나 하겠다. 초반의 설명을 부디 잊지 말아라. 되게 뻔한 서술장치인데도 중반에 몰입하느라 완전히 잊고 말았다. 

왈도는 유인원 다음 인간, 인간 다음 왈도가 있다고 생각하는 지능 높은 근무력증 환자다. 자신이 인간의 다음 진화체라고 여기지만 이건 일반적인 인간처럼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열등감의 표출이라는 것이 밝혀진다. 

이게 왈도를 읽으며 내 안에 남아있던 불편이었다. 재미있는 이야기임에는 맞지만, 장애인과 비장애인 중 어느 누구의 삶이 더 낫고 말고는 구분할 수 없는 종류의 것이기 때문이다. 왈도가 이후 겪는 변화와 새로운 배움이 즐겁다가도, 장애에 대한 미약한 아쉬움을 담고 있는 것 같아 불편했다.

물론, 왈도는 가만 있어도 ‘땅다람쥐’ 따위의 콧잔등을 납작하게 해줄 수 있는 멋진 존재지만. 


<그녀만의 욕실>과 <거울너머에서 일어난 일>은 아름다운 여성이 등장한다. 아름다운 여성이 아니면 입을 열수도 없던 시절이 확실히 있었다. 이 점도 마찬가지로 아쉽긴하다. 우리는 성숙한 현대의 독자로서, 어쩔 수 없는 부분에 대한 비판을 확실히 하고 독서를 해주기로 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