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삶의 개념이 완전히 변하고, 본질에 대한 삶의 관계도 완전히 변함에따라 비극 또한 변화를 겪지 않을 수 없었다. 삶에서의 의미의 내재성이 천재지변을 만난 듯 하나의 순수한 세계로부터 완전히 사라진다는 것은, 이러한내재성이 마법에 걸린 듯 우주로부터 서서히 추방당한다는 것과는 약간 다른문제이다. 다시 말해 의미의 내재성을 다시 회복하려는 동경은 채워지지 않은채, 그러나 구제할 수 없을 정도의 절망상태에 빠지는 일도 결코 없이 그대로생생히 남게 되고, 또 사람들은 마냥 뒤얽혀 버린 모든 현상 속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애타게 기다리면서, 잃어 버린 의미의 내재성을 추측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본질은 삶이라는 숲에서 베어온 통나무를 가지고는 어떠한 비극의 무대도 세울 수 없고, 타락한 삶의 죽은 편린들을 모두 불태움으로써 짧은 불꽃과 같은 존재를 소생시키든가 아니면 이와 같은 모든 혼돈에 단호하게등을 돌려, 완전히 순수한 본질성이라는 추상적 영역으로 도피하지 않으면 안된다. 셰익스피어와 알피에리(Vittorio Alfieri, 1749~1803; 18세기 이탈리아의 최대 비극작가 역주)를 양극으로 하고 있는 현대 비극이 필연적으로 양식적 이원성을 갖게 되는 것은 이처럼 본질이 연극외적인 삶에 대해 갖는 관계때문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