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 우리 몸을 이루는 아주 작은 친구들 눈에 보이는 과학 2
강현옥 지음, 노인경 그림, 윤철종 감수 / 길벗스쿨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이책은 겉표지 부터 호기심을 끌었을뿐만 아니라.. 책장하나하나 넘길때 마다 신기하고 재미있었어요~
아이랑 같이 앉아서 설명하면서 보여줬더니.. 아이가 관심을 가지며 이것저것 물어보네요~

우리몸에 이루고 있는 가장기본단위 세포에 대해서 잘 설명되어있고,현미경으로 확대한 사진들이쉽고, 색깔까지 있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적혈구,백혈구, 혈소판에서 자세히 설명되어있고,하는일이 자세히 설명되어있다. 수명이 다한 적혈구가 간이나 지라에서 죽게된다는것도 알게되었고, 혈소판이 금이간 벽이나 바닥을 수리할때 쓰는 시멘트에 비유했을때 더 잘 이해 할수 있었다.
뼈는 단지 뼈라고 생각했는데..뼈도 세포가 있다고 한다. 단단해야하지만 무거우면 안돼므로,나무뿌리로 얽혀있는 그물구조로 되어있다.. 확대사진을 보면서 더 잘이해할수 있었다.
근육세포에는 서고, 움직일수있게하는 가로무늬,무거운 물건을 잘들게하는 민무늬,심장이루는 심근육이 있다.민무늬근은 작은 움직이지만, 위나장같이 큰힘이 필요하지 않아도 쉬어서는 안돼는 중요한곳을 담당하고 있단다.건축의 완성 피부세포가 있으며, 세포분열을 일으켜 하나의 생명을 완성하는 정자와 난자세포에 대해서도 잘 설명되어있다.
여기서 재미있는건.. 세포가 자살해 죽는것이다.스스로 건강하게 지낼수 없거나. 산소가 부족하면 자살을 택하게 된단다.세포는 분열이 끝나면 죽지만, 암세포는 짧아진 종결체를 원래크기로 채워주기때문에 암세포는 절대죽지 않고..다른곳으로 전위되는것이다.
인체나라의 특별한 세포로는 단세포와 대장균,아메바 유글레나세균등이 있다. 
식물세포와엽록체 광합성에 대해서도 잘 설명되어있고, 식물나라에 액포라는 창고에 영양분과 물을 저장해둔단다.
처음 세포라고 지은사람은 로버트훅이라는 사람이 현미경을 만든후 코르크마개를 자란뒤 죽은세포을 관찰하게 되었고,그후 레벤후크라는 사람이 살아있는 세포를 꼼꼼하게 그려두었다.
세포가 하는일은 알아낸것은 슈백과 슐라덴이다. 아마 현미경이 없었다면 우리의 작고 세밀한 중요한 세포를 보지도 못했을것이다.
인간의 세포와, 식물등 세포의 특징과 하는일들을 자세하게 되어있으며.. 많은 현미경 사진은 두고두고 자료로 쓸수있고, 재미있는 그림으로 쉬운예를 들어 머리속에 쏙쏙들어온다. 

이제 과학을 접하는 울아이가 더 흥미롭게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세포에 관해서 공부할수있도록 많은 도움을 받을책인것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