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런의 공식 - 욕하면서 끌리는 마성의 악당 만들기 어차피 작품은 캐릭터다 1
사샤 블랙 지음, 정지현 옮김 / 윌북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에서 주인공의 히어로 이외에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빌런. 영화와 소설에 등장하는 매력있는 악당은 생각보다 오래 기억에 남는다. 그렇다면 그런 악역들에게 공통된 특징이 있을까? '끝내주는 악당 캐릭터에는 숨은 공식이 있다'라고 말하는 책은 악당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들을 하나씩 짚어준다. 그리고 악당 역을 얼마나 매력있게 그리는가에 따라 이야기가 얼마나 재밌어질 수 있는지 소개하고 있다. 일반적인 작법서라기보다는 '완벽한 빌런 캐릭터를 만드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배울 수 있다'라고 말하는 셈이다.


먼저 책을 읽기전에 염두해 둬야 할 것이 있다. 소설이나 영화에 등장한 악역이 주요 예시가 되기 때문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는 점이다. 널리 알려진 책과 영화들을 고르긴 했다지만 아직 읽지 않은 사람이라면 그 점을 꼭 짚고 넘어가야 한다. 주로 등장했던 예시들은 마블 영화의 토르와 로키, 양들의 침묵의 한니발 렉터, 해리포터의 볼드모트, 헝거게임의 스노우 대통령 등이 있었다. 다행히 나는 대부분 접하거나 본 것들이라 스포일러를 봐도 괜찮았는데 기억이 안났던 부분이 종종 있었다. 하지만 유명작들이 예시로 나오는만큼 이해하기 쉽다는 장점도 있다.


어쩌면 이야기에 등장하는 악역들은 주인공 뒷자리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어떤 이야기를 만들고자 한다면 반드시 있어야하는 것 또한 악역이다. 그것이 심리적인 것이거나 혹은 사람이 아닐지라도 마찬가지다. 이야기 속 주인공에겐 시련이 존재하며 그 시련은 악역과 깊은 관련이 있다. 때문에 책에선 빌런 캐릭터를 어떻게 만들고 사용해야하는지 '히어로'만큼이나 크게 신경을 써야한다고 말한다. 무엇보다 크게 공감했던 부분은 악역에게도 사랑하는 엄마가 있을테니 긍정적인 면 한가지는 줘야한다는 점이었다. 생각해보면 마냥 또라이거나 이해할 수 없는 싸이코패스 캐릭터인 경우 그 인물에 대한 호기심과 호감도가 확 떨어져 매력이 없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반면 매력적인 악역인 경우 정당한 서사를 가지고 순간적인 공감을 이끌어내기도 한다. 비록 목표로 가는 길이 비뚤어진 방법이라해도 말이다.


13개의 과정을 거치는동안 악역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들을 수 있었다. 히어로라고 하면 반듯한 이미지가 강하지만 빌런은 다양하고 어디로 튈지 모른다는 점이 매력인 것 같다. 각 단계의 설명이 끝날 때마다 요약과 질문 페이지가 마련되어 있어 악역 캐릭터에 관해 좀 더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도 있었다. 제일 뒤쪽에 수록된 부록에는 소설과 영화 속에 등장하는 빌런 목록, 마냥 영웅적이기보다 어떤 한 쪽이 비뚤어진 부분도 있었던 반영웅의 목록, 캐릭터와 성격 특징의 목록, 캐릭터가 생각할 수 있는 가치들의 목록, 영혼의 상처 목록, 추천 도서가 쭉 이어지고 있어 캐릭터를 만들 때 고민한 적이 있다면 도움이 될 것 같았다. 책을 통해 좀 더 매력있는 빌런을 만들어낼 수도 있지만 빌런들의 특징을 보는 재미도 있었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