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의 발견 - 동서고금을 통틀어 가장 흥미로운 독 이야기
후나야마 신지 지음, 공영태.나성은 옮김 / 북스힐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제부터 독과 약이 구분되었을까? 우리는 흔히 몸에 이로운 것을 약으로, 몸에 해로운 것을 독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독을 약으로 쓰는 일이 있고, 몸에 좋은 것도 과하면 독이된다. 게다가 사람이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독 또한 존재한다. 이 책은 그런 독들을 광범위하게 다루고 있다. 식물, 동물이 과연 자기방어를 위해 독을 가지게 된 것인지를 넘어 독이란 과연 무엇인지에 관해 말하고 독을 어떻게 이용해왔는지, 어떤 사고와 범죄에 얽혀있는지를 알려준다. 그리고 요즘 시끄러운 마약까지 다루고 있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부분이 많았다.


사람의 시선에 따라 독과 약이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생각해보면 자연의 독은 그렇게 태어나고 살았을 뿐 아무런 잘못이 없다. 그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 비극이여도 사람들은 독성에 대해 배우며 식물과 동물을 가려 먹기도 하고, 먹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기도 한다. 복어나 고사리 같은 경우가 바로 그에 속하는데, 그 외에도 극독이라 어쩔 수 없는 동식물도 많았다. 책을 보며 흥미로웠던 점은 독의 분류 부분과 역사 속에서 다뤄졌던 독 부분이었다. 독의 분류는 포이즌>톡신>베놈 순으로 광범위한 분류에서 세부적인 분류로 넘어간다. 포이즌이 자연 독과 인공 독 모두를 포함한다면 톡신은 자연의 독을, 베놈은 독 중에서 특히 독뱀이나 전갈 벌 등 독선에서 분비되는 독액을 말한다고 한다. 독이라고 하면 그냥 치명적인 이미지밖에 떠올리지 못해서인지 흥미롭게 볼 수 있었다. 금방 독성이 나타나는 급성독, 천천히 몸을 해치는 만성독, 수십년간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다음 세대에 기형을 가져오는 지연독으로 분류해둔 부분도 기억에 남았다.


역사 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독에 관련된 이야기들은 철학자 소크라테스, 중국 황제들, 히틀러 등의 이야기가 있었다. 생각보다 비중있게 다뤄지는 부분은 아니었지만 역사라는 것만으로도 흥미롭게 볼 수 있기도 했다. 생각보다 많은 페이지를 차지하고 있었던 부분이 마약이라는 점도 놀라웠다. 죽음에 이르게 하는 각성제와 화학적으로 만들어낸 온갖 약들에 관한 위험성이 생각보다 더 컸다. 화학에 좀 더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곳곳에 있는 화학식들과 함께 더 흥미롭게 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들었다. 독이라고 하면 깊게 생각하지 않고 동식물만 먼저 떠올렸기에 이 책을 통해 많은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