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사랑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민경욱 옮김 / ㈜소미미디어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정체성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 소설 '외사랑'. 히가시노 게이고가 이런 소재로 소설을 썼다고 했을 때, 쉽게 상상하지 못할 쪽으로 이야기를 풀어가겠다는 건 알았지만 이만큼 깊이감있게 전개할 줄은 몰랐다. 소설의 주인공은 대학생 때 미식축구부에서 에이스 쿼터백으로 뛰었던 니시와키 데쓰로. 데쓰로는 학교를 졸업한 뒤, 미식축구를 그만두었지만 동료들과의 연대는 1년마다 다함께 만나는 방식으로 이어나가고 있었다. 서로의 실수담을 이야기하며 늘 화제의 인물 중 하나였던 데쓰로는 부원들과 자리를 파하고 나오는 자리에서 팀 매니저였던 히우라 미쓰키를 만난다. 


여자같지 않았던 미식축구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던 히우라는 데쓰로의 앞에 굉장히 오랜만에 나타났다. 반가운 마음에 미쓰키에게 말을 걸었지만 돌아오는 건 목소리가 아닌 필담. 의아한 데쓰로에게 미쓰키는 조용히 이야기할 수 있는 장소를 제안하고, 그곳에서 미쓰키의 비밀을 알게된다. 여자의 몸으로 살아왔지만 남성의 마음을 가졌다고. 때문에 성대에 상처를 내가면서까지 목소리를 허스키하게 만든 미쓰키는 자신이 얼마전 사람 하나를 죽였다라는 사실까지 털어놓는다. 뜻밖의 사실에 충격받을 시간도 없었던 데쓰로는 아내인 리사코와 미쓰키를 이대로 경찰에게 넘길 수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어느 날, 미쓰키가 사라지고 그 뒤를 데쓰코가 쫓기 시작하며 숨겨져 있던 진실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몸이 여자이나 마음이 남자인 사람, 몸은 남자지만 마음이 여자인 사람. 성정체성 장애는 이제 마냥 낯선것이 아니다. 때문인지 이 소설을 어떻게 풀어갈 지 궁금했다. 어떤 진실이 있을지도 궁금했고. 상당히 두꺼운 책이라 읽는 덴 시간이 좀 걸렸지만 그만큼 분위기가 묵직하기도 하다. 어디까지가 여자고, 어디까지가 남자인지, 그 둘을 분류하는 기준을 뭐라 확실히 말할 수 있는지, 몸과 마음이 일치되지 않는다면 성별을 뭐라 해야하는지 등등. 정말 히가시노 게이고 작가의 통찰력 정도 되어야 소설을 이렇게 끌어갈 수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초반에 등장하는 미쓰키를 비롯해 다양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 이야기를 보면서 그런 생각을 더 많이 한 것 같다.


소설을 다 읽은 뒤, 번역자분의 후기를 보면 이 소설은 2001년에 출간된 책이라고 한다. 이제야 한국에 건너온 것도 놀라운 일이지만, 2001년에 이런 책이 출간되었다는 사실도 놀랍다. 여자와 남자를 분류하고 서로 할 일이 있다고 암묵적으로 정해놓은 건 대부분의 나라가 비슷한 과정을 겪어왔으니까. 그리고 나는 일본이 우리보다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다고 들었다. 때문인지 소설을 이끌어가는 '데쓰로'에게서도 남성적이고 마초적인 성격이 잘 보였다. 아내의 일을 지지한다고 말했지만 아내가 외국 출장으로 일을 하게 될 기회를 잡자 고의로 피임을 하지 않아 아이를 만들었다거나, 이해해주겠지라는 안일한 태도로 자신의 고집을 밀어붙인 것, 여자인 아내의 보살핌을 받고 싶다 생각하는 것이나 원래 여자였던 미쓰키와 보낸 하룻밤의 잔상을 지우지 못해 미쓰키를 남자로 받아들이기 힘들어하는 것 등등. 어쩌면 고정관념이 있는 일반적인 사람일지도 모른다. 데쓰로가 내내 갈등하는 모습이 나왔기 때문에 좀 더 인간분류에 관해 고민할 수 있었으니까. 하지만 여전히 답을 찾지 못하겠다는 것 또한 데쓰로와 같아 씁쓸하기도 했다.


결말부로 가면 숨겨진 진실에 놀라게 되면서도 한편으론 안타깝다. 제목의 '외사랑'은 등장인물간의 사랑이기도 하지만 '나'라는 사람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길을 의미하지도 않았을까. 아마 머나먼 길을 혼자 걸어야만 하는 과정을 보아서 이렇게 말할 수 있는지도 모른다. 책을 읽기 전까지만 해도 원래 여자였던 사람이 남성의 모습으로 나타나 미스터리한 사건을 몰고오는 것으로만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묵직한 주제와 이야기를 풀어놓고 있어서 차분하게 읽을 수 있었던 책이었다.




"남자와 여자는 뫼비우스 띠의 앞뒤와 같아요. 이 세상의 모든 사람은 이 뫼비우스 띠 위에 있어요. 

완전한 남자도, 완전한 여자도 없어요. 또 각자가 지닌 뫼비우스 띠도 하나가 아니에요.

어떤 부분은 남성적이지만, 다른 부분은 여성적인 것이 평범한 인간이에요." - 421p


*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