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택트 교육의 미래 - 왜 기술만으로 교실을 변화시킬 수 없을까
저스틴 라이크 지음, 안기순 옮김, 구본권 감수 / 문예출판사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세계 어느 곳에서나 사람들의 연결을 가능하게 했고,

더불어 개별화 교육의 요구도 높아지면서

종종 사람들은 '학교' 존재의 가치 에 대해 이야기해 왔다.

그리고 사람들은 이제 곧 미래 학교 수업은 디지털 기기를 이용한 온라인 수업 형태로 변화해서

누구나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공간에서 학습하게 될 것이고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을 받을거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이런 예상은 코로나19상황으로 완전히 빗나갔다.

준비없이 맞이한 상황이라는 전제한다고 해도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학습목표에 달성하지 못했고,

학습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우리가 이런 상황의 원인을 분석하고 학습격차를 완화할 방안을 찾을 때

저자는 이미 이러한 상황을 예견하고 있었다.

코로나19 이전만해도 몇년 후에는 지금과 같은 형태의 학교는 사라지게 될 것이다,

교사라는 직업도 몇 십년 안에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는 사람이 많았다.

그러나,

이번 상황을 겪으면서 사람들은 '그래도 학교'는 있어야 한다고 얘기했다.

면대면의 소통, 사회성, 돌봄의 문제때문일까?

그럼, 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지역사회에서 이런 돌봄의 역할을 한다면 학교는 다시 이전의 논의대로 사라져갈 것인가?





저자는 몇가지 논거를 들어 지금과 같은 형태의 교육은 바뀌지 않을 거라고 얘기하고 있다.

우선, 기술발달에 따른 대규모 학습을 세가지 유형으로 나뉜 뒤 설명하고 있다.

대규모 학습은 강사주도학습, 알고리즘 주도 학습, 동료주도 학습으로 번역해놓았는데,

쉽게 설명하면

은 MOOC와 같이 녹화해 놓은 강의를 온라인 강의로 활용하는 것이고,

은 학생이 보인 수행 수준에 따라 학습 방향이 결정되는 것이다.(대표적인 예로 칸아카데미가 있다, 수학에서 학생이 틀린 유형의 문제가 반복 제시되거나, 다 맞추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

은 학생이 온라인 상으로 자신이 필요로 하는 강의를 검색해서 찾아 듣고, 게시판이나 댓글을 통해서 토론과 소통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유형이 유튜브이다.

하나씩 자세히 살펴보면,

MOOC와 같은 강사주도학습이 처음 출현했을 때 15년 안에 대학이 파산할 것이며, 전 세계적으로 고등교육에 대한 접근이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그리고

.

또한 ④

mooc와 같은 시스템이 기존 고등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자주적 학습, 피드백) 을 끼친것은 맞지만

고등교육 모델을 근본적으로 바꾸리라는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

둘째, 알고리즘 주도 학습은 학습 순서를 결정하는 것은 강사가 아니라 이전 단계에서 학생이 보인 수행 수준이다. 그러나 기술의 한계로 정량적 답을 평가할 수 있는 수학과 초급독해에서만 잘 가동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창의적 사고력이나 문장 구수 평가하는 대부분의 과목에서 '알고리즘 주도 학습'은 현재에도 적용이 불가능하다.

셋째, 동료주도학습은 학생이 공부할 주제와 참여할 커뮤니티를 선택하는 것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활동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학교는 복잡한 시스템이고 교사, 학생, 학부모, 관리자, 정책 입안자 등 학교 시스템에 속한 많은 이해 관계자는 현상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받는다. 그에 따라 학교는 다양한 목적과 역할이 요구된다. 하나의 목적을 향해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시스템이다.(복잡성)

또한, 대규모 학습 기술은 여러 과목에 불균일하게 영향을 미친다. 자동 채점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은 수학, 과학의 정량적 부분, 초기 언어 습득, 컴퓨터 프로그래밍 정도이고 지금은 어느 때보다 창의적인 문제해결과 복잡한 의사소통 가치가 증가하고 있으나 그러한 가치는 자동 채점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기술만으로는 에듀테크의 마태효과(빈익빈 부익부 현상)를 막을 수 없다.정보 접근성이 좋은 부모 밑에서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교육을 받기 수월할테니까. 기술만으로 교육을 민주화할 수 없다.(불평등)

1913년 에디슨은 책의 시대가 가고 영화의 시대가 오리라고 선언했다.

그리고

"공립학교에서 책은 무용지물이 될 것입니다.

학생들은 눈으로 교육받을 것입니다.

모든 갈래의 인간 지식을 활동 사진으로 가르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나라의 학교 시스템은 10년 안에 완전히 바뀔 것입니다."

라고 말했지만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그 주장은 실현되지 않았다.

계속해서 뛰어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건 사실이지만,

그건 학교교육시스템을 보조하는 도구로 쓰여질 것이다.

학교라는 복합적이고 복잡미묘한 곳이 단순한 '기술'로만 대치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