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기하는 용기 - 실존적 정신분석학자 이승욱의 ‘서툰 삶 직면하기’
이승욱 지음 / 쌤앤파커스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실존적 정신분석학자 이승욱의 '서툰 삶 직면하기'

 

 

'끝까지 포기하지마라'

'포기는 배추 셀때나 쓰는 말이다"

누구나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인생 좀 살아봤다는 멘토들은 하나같이

어떤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최선을 다하라고 다그친다.

포기가 마치 죄악인 것 처럼....

포기하면 루저가 되는 것 처럼....

 

 

이 책 [포기하는 용기]는 힘들어 하고 병들어가는 사람들에게

과감히 내려놓으라고, 포기하라고 말한다.

정말 그래도 되는 걸까?

여기서 멈춰도 되는 걸까?

그저 인생 패배자들의 어깨를 다독여주며

달콤한 위로의 말로 희망을 주려는 얄팍한 상술이 아닐까?

포기하라니.. 포기하는데 무슨 용기가 필요할까?

책을 읽기도 전에 나도 모르게 질문들이 쏫아져 나왔다.

 

 

내 머릿속에 수 없이 많은 질문들을 떠오르게 했던 제목과는 달리

책을 읽을수록 그 질문들의 답을 하나하나 찾을 수 있었다. 

현대인들이 느끼는 불안의 원인을 파악하여

근본 원인을 이해하고 해결책을 찾도록 도와준다.

'정신분석학자'라는 저자의 명함에 어울리게

우리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심리와 불안을

명쾌하고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우리가 느끼는 불안과 스트레스의 원인은

누구에겐가 인정받고 싶은 요구에서 비롯되고

그 욕구는 인간이 가진 본능에 가깝다고 한다.

즉 유아기부터 길러져온 천성(?)이라고 설명한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엄마(또는 다른 양육자)의 반응에 의해서 성장하고

그런 과정에서 자기 자신의 욕구나 필요보다는

타인의 기대에 부흥하고자 하는 존재로 성장한다는 것이다.

그런 인정의 욕구가 진정한 행복을 가로막는 복병이라고 말하는 듯 하다.

(내가 정확히 이해한 것이 맞다면....)

 

 

많은 사람들이 마치 불치병에 걸린 사람들처럼 불안해 하며 살고있다.

끊임없이 무언가를 성취하고자 하고 인정받고 싶어 한다.

성장에 대한 강박관념,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망,

성공하고 싶은 욕심, 버림받지 않으려는 몸부림...

왜? 도대체 누구를 위해서?

저자는 타인이 아닌 자신에게서 그 이유를 찾으라고 조언한다.

이 책에서 말하는 '포기'란

타인의 시선과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를 버리라는 의미인 것 같다.

즉 자기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오직 자신에게만 집중하라는 의미인 듯 하다.

 

 

"욕망도 내 욕망이 아니고 성공의 잣대도 내 것이 아닌 사람에게,

성공이라는 것은 환상을 넘어 허상이 아닐 수 없다.

진정 성공하고자 한다면, 먼저 성공에 대한 자기만의 기준을

확립하는 '성공'을 먼저 경험해야 한다. 그 과정은 자신의 욕망을

면밀히 검토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는 것,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_ p183

 

 

현대인(아니 인간이)가진 근본적인 불행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아주 유익한 책이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원인은 명쾌하게 분석하면서도

해결책에 대해서는 다소 두리뭉실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나의 이해력이 부족했는지도 모르고....)

그렇지만 이 책을 통해 현실의 문제를 파악하고

정확하게 직시할 수 있는 안목을 배울 수 있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