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 카뮈 - 태양과 청춘의 찬가
김영래 엮음 / 토담미디어(빵봉투)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티파사의 아침에 폐허 위에 맺히는 이슬.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것 위에 세상에서 가장 젊고 신선한 것.

이것이 바로 나의 신앙이고,

또 내가 생각하는 예술과 삶의 원칙이다. _ 알베르 카뮈

 

 

알베르 카뮈하면 맨 먼저 '이방인'이 떠오른다. 사실 카뮈의 책 중 제대로 읽은 책이 '이방인'밖에 없으니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알베르 카뮈의 소설과 에세이에 대해서 극찬을 아끼지 않는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그의 작품세계는 한마디로 난해했다.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학창시절 '이방인'을 읽고도 무덤덤하게 마지막 책장을 덥었고, 거의 10년이 지나서 다시 읽고는 괜찮은 책이구나... 하고 생각했었다. 그의 에세이인 '시지프의 신화'도 중간중간 일부만 읽은 것이 전부였다. 그렇기에 알베르 카뮈의 명성에 비해 내가 그에대해 너무 아는것이 없다는 생각에 이 책 [알베르 카뮈 _ 태양과 청춘의 창가]를 선택했다. 어쩌면 나에게는 어렵기만 한 알베르 카뮈의 작품세계를 좀더 많이 이해할 수 있을지도 모르고, 그에 대한 나의 개인적인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에서 말이다.

 

알베르 카뮈라고 하면 작가이면서도 '이방인'과 '시지프의 신화'를  발표하고 철학자로서도 인정받았다고 한다. 또한 사형제도에 반대하고 인권운동에도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실 결혼제도역시 반대하여 그의 결혼생활이 순탄하지 않았다는 말도 있지만....  어째든 [알베르 카뮈 _ 태양과 청춘의 창가]는 카뮈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엮은 책이라고 한다. 이 책은 모두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열개의 거울에 비춰본 카뮈'는 카뮈 자신이 어떤 인터뷰에서 '가장 좋아하는 열 개의 단어'를 묻는 물음에 답한 것을 바탕으로 세계, 고통, 대지, 어머니, 사람들, 사막, 명예, 비참, 여름, 바다의 10개의 단어에 얽힌 이야기를 하고 있다.

 

 

2부 '카뮈를 읽다'에는 그의 대표작인 '이방인'과 '페스트'의 중요 부분을 발취하여 수록하였고, 그의 대표적인 에세이인 '시지프의 신화' 중 마지막을 장식한 '시시포스의 신화' 전문을 수록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 3부 '카뮈를 만나다'에서는  노벨상 수상식에서 행해진 강연과 그의 은사들과 나눈 편지 그리고 여러 인터뷰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 한권으로 알베르 카뮈에 대한 문학적 깊이를 다 이해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것 같다. 물론 책의 내용이 모자라다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이해력의 차이 때문이다. 저자는 말한다. 이 책을 엮은 이유는 독자들이 카뮈와 악수를 나눌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라고... 극작가이자 카뮈의 전기 작가인 장 크로드 브리스빌이 '카뮈의 작품을 읽는다는 것은 그와 악수하고 싶은 욕구를 느낀다는 것이다.'라고 말 했듯이 이 책을 통해서 알베르 카뮈의 작품을 더욱 잘 이해하고 그의 작품세계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 작가의 의도일 듯 하다. 개인적으로 카뮈라는 인간에 대해서 그리고 그의 작품에 대해서 조금더 깊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진 듯 하다. 그렇지만 아직도 카뮈의 작품에 담겨있는 철학적 고찰을 이해하기에는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할 거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