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범평전 - 상해의 함성은 끝나지 않았다, 한국인물평전 1
정경환 지음 / 이경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범평전]

 

책을 받아들었을 때 환하게 웃고있는 김구선생의 얼굴이 인상 깊었다.

 

 

그의 이름을 처음 알게된건 초등학교 교과서를 통해서인 것 같다.

그후로 김구선생님하면 독립운동을 통해 우리나라 독립에 힘쓰신 분이라고만 단편적으로 알고 있었다. 그의 사상이 무엇인지, 진정으로 원했던 나라가 무엇인지, 왜 그토록 힘든길을 선택하게 되었는지 한번도 깊게 생각해 본 적이없다. 어쩌면 위인의 단순한 업적만을 나열해 놓은 교과서 때문일지도 모르지만, 진짜 이유는 내가 한번도 그에 대해서 알고자 하지 않았지 때문일 것이다. 이름과 그가 이룬 몇가지 업적만을 안다고 해서 백범김구선생이 누군지 안다고 말했던 내가 부끄럽다.

 

 

'백범평전'은 기울어가던 조선왕조 말기부터 해방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배경과 함께 백범선생의 사상과 업적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물론 작가의 개인적 생각과 의견도 포함해서... 책을 읽는동안 마치 한권의 수필이나 소설을 읽는 듯 했다. 감성적인 문체로 당시의 상황과 암울했던 역사적 사실을 그려내고 있다.

 

 

 

 

서대문 형무소의 백범선생의 이야기로 시작한다. 뜻을 이루기 위한 처절한 그의 모습을 보여주는 듯 했다. 과거시험에 실패한 후 혁명을 꿈꾸고, 기울어가던 조선왕조 말기 동학혁명과 의병운동에 적극 가담하며 그가 꿈꾸는 새로운 나라를 위해 고군분투 한다. 또한 사립학교를 수립하여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게 된다. 그러나 일제에 나라의 주권을 빼앗기고 105인 사건으로 서대문 형무소에 구감되어 혹독한 고문을 당하게 된다. 3.1운동이 일어나자 독립운동을 위해서 중국 상해지역으로 망명하게되고 해방까지 고국땅을 밟지 못한다. 그는 민족의 독립을 위해서 국내외적으로 많은 활동을 펼지게 되고, 해방후에도 조국의 완전한 독립을 위하여 반탁운동과 통일운동을 펼치게 된다.

 

 

그가 추구했던 진정으로 아름다운국가는 문화국가였다. 문화국가란 문화를 기초로 한 국가로 국가 문화가 국가 전체에 만발하는 것을 뜻한다. 민족이 있어야 세계가 있고 민족문화를 잘 보존해야 세계의 급속한 변화에 매몰되지 않고 민족의 자존감을 지킬 수 있다는 것이다. 백범은 "나는 우리나라가 남의 것을 모방하는 나라가 되지 말고 높고 새로운 문화의 근원이 되고 목표가 되고 모범이 되기를 원한다"라고 말하며 문화국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책을 읽으며 역사와 백범의 사상에 대해서 좀더 새로롭고 유익한 의견을 접할 수 있었던 것을 사실이지만, 평전이라는 특성 때문인지 조금은 혼란스러운 면이 있었던 것 같다. 물론 우리역사가 부끄러운 정치사로 얼룩진건 사실이지만 그것 역시 우리의 역사이다. 조선말기 상황에 대해선 나도 저자와 거의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백범선생의 업적을 너무 두각하려는 의도였을까... 조금은 읽기 거북한 표현들이 있어 아주 조금 아쉬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