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산 없이 비올라 ㅣ 샘터어린이문고 72
허혜란 지음, 명랑 그림 / 샘터사 / 2023년 4월
평점 :
바이올린은 독주가 가능한 악기이지만, 비올라는 저음의 화음을 넣는 악기이다. 저자가 비올라를 소재로 선택한 이유가 바로 ‘화음’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다.
세상은 비올라와 같은 화음 악기가 있어야 더 빛이 난다. 열 세 살 선옥이는 원래 바이올린을 켠 아이였다. 그러다가 선옥이는 악기를 비올라로 바꾸었다. 그러나 비올라에서 계속 바이올린 소리가 나서 선옥이는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다 선옥이는 한 할머니를 만난다. 무슨 일을 하든 신명나게 일을 하는 할머니다. 선옥이는 할머니와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다른 할머니들도 관찰한다.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다양한 음악과 공연을 통해 조화를 이룬다. 선옥이는 그 모습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다. ‘조화’라는 것.
모든 악기가 그렇듯이 비올라도 비를 맞으면 안 된다. 할머니들이 공연을 준비한 광복절 행사에 선욱은 끌리듯이 참석을 하게 되고, 광복절 행사에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선욱의 재능을 계속 키워주고 싶은 엄마, 선욱이 더 자유롭고 행복하기를 바라는 아빠. 건강과 마음은 둘째치고 여태껏 했으니 좋은 연주자가 되어 성공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선욱.
선옥은 깨달음을 얻는다. 결국 조화로운 것이 최고의 연주라는 사실을. 세상을 살아가면서 마냥 행복하다고 이야기할 순 없다. 그러나 조금만 시선을 돌려보면, 이 동화의 할머니 할아버지처럼 서로 조화를 이루면 안 행복할 것은 없다. 내 것, 네 것 할 것 없이 모두가 조화를 이루고 부족해도 그 부족함을 채운다면 모두가 행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 동화는 우리에게 말해준다. 이런 의미에서 마음이 따뜻해지는 동화였다. 모두가 치열하게 경쟁하지만, 반대로 모두가 조화롭게 사는 방법을 생각한다면 모두가 행복할 수 있을텐데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또다른 이야기는 ‘팔뚝 피아노’이다.
할머니 동네에는 전쟁도 겪고, 광복도 겪었다는 오래된 학교가 있다. 전교생이 스무 명도 안 되고 어떻게든지 폐교를 면하려고 애쓰고 있는 학교다. 그 학교의 소중한 학생 중 한명인 새별이는 큰 사고를 겪고 보름전부터 병실에 의식을 차리지 못한 채 누워만 있다. 전교생과 선생님이 새별이가 깨어날 수 있도록 매일 특별 방과후 수업을 병실에서 하고 있다. 새별이가 좋아하는 피아노는 필수이다.
이 역시 음악으로 엮인 아이들의 이야기다. 어른들의 눈에는 아이들이지만, 아이들은 직접 경함하고 몸으로 느끼면서 음악을 살아간다. 아이들은 음악을 통해 차근차근 성장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란다. 이 동화를 읽으면서 노래 경영 프로그램이 생각났다. 모두가 경쟁자이지만 그 속에서 서로 우정을 나누고 진심으로 아끼고 사랑해주는 모습이 보였다. 누군가 탈락하게 되면 서로 위로해주고 격려해주고 그 길을 축복해주는 모습. 이 모습이 우리가 살아가야할 모습이 아닌가 생각을 해봤다. 모두가 부족하지만 서로 격려하고 안아주는 모습에서 더 큰 행복을 느낀다. 바로 경쟁을 넘어서 모두가 행복할 수 있는 길인 거 같다. 작가는 바로 음악의 음표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이 우리 삶이 그러길 바라는 마음으로 동화를 쓴 거 같다.
** 샘터 물방울 서평단으로 도서를 지원받아 따뜻한 마음을 담아 작성한 개인적인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