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빨대가 문제야 지구를 살리는 그림책 13
디 로미토 지음, 쯔위에 첸 그림, 마술연필 옮김 / 보물창고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러분~ 지구를 살리는 그림책 시리즈가 있다는 사실 알고계셨나요? 저는 이번에 처음 알게 됐는데요! 지구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지식을 그림책으로 담아낸 시리즈라 너무너무 추천드리고 싶어 포스팅을 쓰게 되었습니다. 제가 읽은 책은 시리즈의 13번째 그림책으로, 제목은 『플라스틱 빨대가 문제야』예요.

사실 일회용 플라스틱 빨대가 얼마나 많은 문제를 일으키는지 모르는 분들은 없을거라 생각하지만 빨대의 기원이나 빨대의 변천사를 아시는 분들은 드물거란 생각이 들어요. 저 또한 이 그림책을 읽지않았다면 계속 몰랐을테니까요.

책의 내용을 토대로 간단하게 빨대가 왜 생겨났고, 문제의 플라스틱 빨대가 되기까지 어떠한 단계들을 거쳤는지 먼저 알려드릴게요. 가장 오래된 '빨대'는 갈대 였대요. 음료수에 들어있는 불순물을 먹지않고 깨끗한 부분만 마시기위해 속이 빈 갈대를 이용해 먹기 시작한 게 빨대의 시초라고 볼 수 있어요. 그 후 푸아비 여왕의 왕릉, 중국, 남아메리카 등등 수천 년 동안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도 음료를 마시는 대롱들이 나타났고 당시 많이 쓰이던 호밀 줄기가 음료의 맛을 자꾸 변화시키자 마빈이라는 인물이 현대적인 빨대처럼 생긴 '인공 빨대'를 만들게 됐답니다. 하지만 아직까진 종이에 코팅을 입힌 빨대였어요.

플라스틱 빨대가 탄생하게 된 건, 전쟁이 끝난 기업들이 더이상 전쟁 물자를 위한 플라스틱을 만들 필요가 없어지면서 였어요. 1960년대가 되자 플라스틱 빨대는 어디에나 있는 흔한 물품이 되었고 우리 주위에 수백 년 동안 남아 있게 돼요. 왜냐면 일회용 플라스틱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성질인 '생분해성'이 없어 흙에서 썩거나 물에 녹지 않거든요. 너무 작아서 잘 보이지도 않는 미세 플라스틱으로 잘게 분해될 뿐이죠.

이 플라스틱들은 바다를 오염시키고 육지와 바다에 살고있는 생물들을 위험에 빠트리고 있어요. 혹시 플라스틱을 먹은 생물들 사진을 본 적 있으신가요? 저는 모든 사진이 다 충격적이었지만 아직도 기억에 남는 사진이 하나 있어요. 죽은 새의 몸통이 너무 불룩해 배를 갈라보니 그 안에 플라스틱 쓰레기가 한 가득 들어있던 사진이었죠.

이 그림책에도 제가 보았던 사진 속 새가 그대로 그려져 있어요. 그뿐 아니라 비닐봉지에 갇힌 새, 어망에 온몸이 칭칭감긴 거북이, 육지와 바다에 버려진 각종 일회용 플라스틱까지... 플라스틱의 심각한 문제점들을 그림으로 한 눈에 볼 수 있어 아이가 플라스틱 빨대가 왜 문제인지 바로 이해할 수 있답니다.

『플라스틱 빨대가 문제야』는 플라스틱 빨대의 문제점과 더나아가 우리가 어떻게 변화해야하고 이제라도 어떤 실천이 필요한지에 대한 해결책까지 아낌없이 담겨있는 그림책이에요. 문제의 심각성을 알고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바꾸는 습관부터 하나씩 변화해 나간다면 우리의 터전인 지구와 고통받는 생물들이 더이상 아프지 않을 거예요. 이책을 읽은 어린이, 부모님, 그리고 나부터라도 작은변화에 동참해보기로 약속해요. 약~속♡


[보물창고 출판사에서 제공해 주신 도서를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