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집, 너의 집, 우리의 집 - 2016 볼로냐 라가치상 스페셜 멘션 수상작 ㅣ 웅진 모두의 그림책 45
루카 토르톨리니 지음, 클라우디아 팔마루치 그림, 이현경 옮김 / 웅진주니어 / 2022년 5월
평점 :
어릴 때부터 나는 친구들 집에 놀러가는걸 참 좋아했다. 동물을 키우는 친구집에 놀러가면 강아지랑 고양이, 열대어를 볼 수 있어 좋았고, 사업하고 장사하는 부모님을 둔 친구집에 놀러가면 다양한 물품을 구경할 수 있어서 참 좋았더랬다.
집집마다 부모님의 취향에 따라 인테리어도 다르고 다양한게 당시에는 너무 신기했고 재밌었는데 오랜만에 그때의 감성을 일깨워주는 책을 만났다.
바로 <나의 집, 너의 집, 우리의 집> 책이다.
지금 소개할 <나의 집, 너의 집, 우리의 집> 책은 2016 볼로냐 라가치 상을 받은 도서인데, 이 상이 무슨 상인지 몰라서 찾아보니 세계 최대 규모인 이탈리아 볼로냐국제아동도서전에서 한 해 동안 전 세계에서 출간된 어린이 도서 가운데 각 분야의 최고 아동서를 대상으로 수여하는 상이 바로 '볼로냐 라가치 상'이었다.(네이버 지식백과 참조)
대단한 상을 받은 작품답게 읽고나면 재미뿐만 아니라 참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준다.
책 속엔 열 명의 아이가 등장한다. 자코모, 마테오, 로레나, 신델, 밈모, 오타비오, 릴로, 시모네, 줄리아, 마르코.
집이라 부를수도 없는 집부터 아주 좁은 집, 그리고 별장이나 호텔처럼 멋스러운 집까지 각 아이들의 집을 둘러보며 집 곳곳에 녹아있는 삶의 모습들을 소개한다.
마지막 장엔 클라우디아네 집이 나오는데 이 집은 아직 세상에 없는 집으로, 글 마지막에 '클라우디아가 어른이 되면 진짜 이 집을 볼 수 있을까?' 물으며 끝이난다.
어디서 본 이름인데 싶어서 작가 이름을 다시 찾아보니 그림을 그린 작가님 이름이 클라우디아 팔마루치였다.
책에서는 아직 세상에 없는 집이라고 소개했지만 현실 속 클라우디아의 집은 매일 아름다운 그림이 탄생하고 있을거란 생각에 미소가 지어졌다.
책을 덮고나서 아이들과 어떤 집에서 살고 싶은지, 우리 집은 어떤 집이었으면 하는지 함께 대화해보면서 집에대한 개념을 넓혀보는건 어떨까?
우리가 어린 시절의 집을 떠난 적이 있을까?
어린 시절의 집은 우리 마음속에 영원히 살아 있다.
설령 집이 완전히 무너지거나 사라져 버렸다고 해도.
-페르잔 오즈페텍(이탈리아 영화감독)-
[출판사에서 제공해 주신 도서를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