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과서에 나오는 역사 인물 사전
전윤호 지음, 유남영 그림 / 세종주니어 / 2016년 6월
평점 :

아이가 초등 저학년이다 보니 위인전을 읽을 기회가 많아요. 유치원 때 배운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이라는 노래를 통해 알고 있는
위인들의 이름이 많다보니 이름을 알고 있던 위인들의 책을 찾아 읽기도 한답니다. 그래서인지 역사를 배우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갖고 있기 보다는
관심도와 흥미도가 높은데 인물에 대한 접근을 넘어서 시대의 흐름에 대한 접근도 도와주어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아직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라는 개념이 없이 위인들의 이름과 업적에 대하 아는 것이 전부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역사의 흐름에 대해 노출해 주고 싶은 마음이
있었는데 '역사 인물 사전'이라면 인물 위주로 역사의 흐름을 접해줄 수 있을 것 같았어요.

목차를 보면 우리나라의 역사를 간단하게 분류해 놓았어요. 고조선부터 삼국시대까지는 한 단원으로 분류해놓아 아이들의 혼란을 줄여주고 있고 가장
많이 알고 있는 조선시대를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해 시대의 흐름을 헷갈리지 않고 정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어요.

각 나라의 시작부분에 그 시대의 큰 사건과 인물들을 나열해 놓아 어떤 일이 있었는지 유추해볼 수 있어요. 세종, 이순신, 신사임당, 고종 등..
모두 같은 조선시대 사람인 줄 알았겠지만 같은 조선이라도 시대의 상황이 달라다는 것을 설명해 줄 수 있었어요.

고조선의 건국 역사부터 접해주기엔 아이의 배경지식이 부족한 것 같아 조선시대 초기부터 넘겨보며 낯익은 인물들에 대해
읽어보기로 했어요.
세종의 어린시절 모습, 왕이 된 이유 등 세종의 업적을 분야별로 정리해놓아 한 눈에 보기 편했어요. '한글
창제'에만 집중되어있던 세종의 업적이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으니 보기 편하기도 했고 부족한 부분은 다른 책과 연계해 읽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위인의 업적에만 국한 된 이야기가 아니라 각 인물들의 여러 활동도 설명해주고 있어 좀 더 깊이 있는 학습을 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인물과 관련된 간단한 일러스트도 인물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어요. 이순신에 대한 이야기도 '거북선'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백성들과 함께
전쟁에 대비한 모습들, 싸움 방식 등 여러가지를 거론하고 있어 단편적인 부분에 국한되어있던 인물에 대한 지식을 확장시켜주고 있어 좋았던 것
같아요.

궁금한 인물은 ㄱㄴㄷ 차례 목차를 통해 찾아볼 수 있도록 배려해 두었어요.
위인전으로 만난 인물들을 각 시대별로 찾아볼 수 있어 역사의 흐름과 역사의 전후관계 파악에도 도움을 주고 있어요.
머리말에서 '어떤 생각으로 보느냐에 따라 한 사람이 위인이 되기도 하고 악당이 되기도 합니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인물들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것이 느껴집니다.
인물 위주의 한국사를 접했던 아이에게 한국사의 흐름을 접하게 해주고 싶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