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는 좋아하고 나는 싫어하는 것 ㅣ 좋아 싫어 마음 톡톡
엘리자베스 브라미 지음, 리오넬 르 네우아닉 그림, 김희정 옮김 / 청어람미디어(청어람아이) / 2016년 4월
평점 :

아이들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해 프랑스 엄마들이 가장 많이 찾아 읽는 그림책이라고 해요. 책 제목처럼 '엄마는
좋아하고 나는 싫어하는 것'이라니 엄마와 아이가 얼마나 소통하지 못하고 '엄마가 원하는 대로 아이들 이끌어 가고 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아이를 엄마와 동등한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하고 아이의 독립성을 지켜준다면 큰 문제가 없을 거라고 조언을 하지만
아이를 키우다보면 쉽지 않은 일인 것 같아요. 아이를 바르게 이끌어야 한다는 의무감이 엄마와 아이를 힘들게 하고 있다는 생각도 드네요.

책을 읽다보니 정말 얼굴이 화끈거리는 경험을 많이 하게 되네요. 엄마의 화끈거리는 얼굴과 달리 아이는 책 속
친구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며 '맞아, 맞아'를 연발하는데 나의 사소한 행동들에 아이가 많이 상처받았을 거라고 생각하니 무척 미안한 마음이
들었어요.
엄마의 계획대로 움직이는 것도 속상한데 동생만 이뻐해 준다면 아이는 정말 속상할 것 같아요. 형제를 키우는 엄마의
고충도 있겠지만 아이의 입장에선 이해가 되지 않고 상처가 되는 일인 것 같아요.

하루라도 잔소리를 하지 않고 넘어가는 날이 없는데... '네 할 일은 스스로 알아서 하면 안되겠니?'라고 말하는 엄마의 테엽인형같은 아이의
모습을 보니 안스럽기까지 하네요. 강요나 명령이 아니라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어야 했는데 하는 반성이 들었어요.

정리 안되고 낡은 장난감을 엄마 마음대로 버린 적이 많은데 아이가 얼마나 속상했을지.. 아이의 말에 귀 기울이지
않고 소통하지 않아 서로에게 상처를 준 일이 많은 것 같아요.
이 책은 아이보다 엄마가 먼저 읽고 아이의 상처를 쓰다듬어 주어야 할 것 같아요. 엄마의 어떤 행동들이 아이를
서운하고 속상하게 했는지 엄마의 행동에 대해 반성하고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생각해보고 아이와 함께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져야 할 것
같아요. 엄마의 명령과 강요때문에 마음의 문을 닫는 아이가 생기기 전에 서로를 존중하고 서로의 이야기를 끝까지 들어주는 연습이 필요한 것
같아요.
아이는 자신과 같은 생각을 하는 책 속의 친구를 만나 공감하는 것 자체로도 크게 좋아하네요. 익살스럽고 선명한
일러스트라 더 집중하고 재밌게 읽는 것 같아요.

아이만의 '좋아! 싫어! 마음노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마음노트가 제공되는데 일종의 교환일기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엄마, 아빠, 선생님, 친구들과 함께 속상했던 일, 좋았던 일을 공유하고 좋아하는 것을 더 많이 할 수 있도록 노력하면 서로 상처받는
일이 줄어들 수 있을 것 같아요. 활용법도 있어 아이와 비밀노트를 공유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인 것 같아요.
이 책을 통해 부모, 자식간의 관계가 일방통행이 아닌 양방통행일 때 원활한 흐름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아이를 독립된 인격체로 대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왜 이 책이 프랑스 아동분야 베스트셀러인지 알 수 있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