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빠하고 나하고 메뚜기 잡으러 가요 - 우리 마을 자연 관찰 : 가을 ㅣ 개똥이네 책방 27
양상용 글.그림 / 보리 / 2015년 12월
평점 :

'우리 마을 자연 관찰' 시리즈예요. 우리나라 4계절을 아빠와 함께 즐기고 관찰하는 연두네 이야기입니다. 이 시리즈를 처음 봤을 때 조혜란 작가님의 '할머니 어디 가요?' 시리즈가 연상되서 무척 반가웠어요. 우리 마을의 사계절을 충분히 느끼고 주변에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은 하지만 생각보다는 어려운 일이더군요. 연두와 아빠를 통해 우리나라 4계절의 특징과 주변 동.식울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을 것 같아 무척 기대가 됐어요.

연두네 마을은 강물이랑 바닷물이 만나는 곳에 있대요. 마을 주변에 강과 산, 들이 있어 물고기도 잡고 꽃과 나무도 관찰할 수 있는 멋진 곳이예요.
들판이 노랗게 변한 가을에 밖으로 나가면 예쁜 나비들과 풀벌레가 반겨줍니다. 아빠와 함께 하니 책에서만 보던 나비의 이름도 알게 되고 방아깨비 이름의 유래도 배우게 됩니다.

물가에 가면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놀이가 바로 물수제비 뜨기인데 연두가 물수제비 뜨기에 알맞은 돌 고르는 법도 배우고 강에서 볼 수 있었던 징검다리가 어도라는 것도 배우게 됐어요.
강바닥에서 사는 털게와 참게의 차이점도 배우게 되고 갈대로 게잡는 법도 배우게 됩니다. 아빠와 함께 다니니 엄마와 함께 다닐 때와는 다른 세상을 볼 수 있어요. 활동적인 영역에서는 아빠의 존재가 빛을 빌하는 것 같아요.

가을산을 걷다보면 줍게 되는 알밤과 도토리. 요즘에는 한 알만 발견해도 횡재했다고 기뻐하는데 연두네 마을에는 알밤과 도토리가 가득해서 부러워요. 도토리 크기가 다르고 모자가 달라서 다른 나무 열매라고 생각했는데 떡갈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이름도 배울 수 있었어요. 도토리와 성냥개비로 팽이도 만들어 돌리고 다람쥐가 숨겨놓은 식량창고도 발견했어요. 가을산에서 아이가 할 수 있는 최고의 경험을 할 수 있던 시간이었던 것 같아요.

감도 따고 까치밥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주변에서 배울 수 있는 것들이 참 많은 것 같아요. 비슷하게 생긴 열매와 꽃들도 쉽게 비교하고 구분할 수 있도록 자세한 설명이 있어 도움이 되네요.
책의 말미에는 연두와 아빠가 가을에 만난 동.식물들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어 나중에 필요한 동.식물들을 찾아볼 수도 있어요.
초가을에 책을 읽었더라면 아이와 산에 가서 여러가지 말을 해주고 다양한 활동들도 할 수 있었을 것 같아요. 마을의 가을을 보고나니 연두와 아빠가 함께 다녔을 마을의 겨울이 궁금해 집니다.
보리를 대표하는 세밀화 그림들이 부드럽고 따뜻한 느낌을 주어서 더 좋았던 것 같아요.
가을,보리,조혜란,할머니어디가요,우리마을자연관찰
|